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5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立夏 ●입하(立夏)         ●입하(立夏) -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                    24절기의 하나.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들어 있으며, 음력으로는 4월, 양력으로는 대개 5월 6일 전후에 해당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에 이르렀을 때이다. 이맘때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삿일이 좀더 분망해진다.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입하는 신록을 재촉하는 절기이다.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아울러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들을 없애는 작업도 많다. 송파지역에서는 세시행사의 하나로 입하 무렵 쑥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입하는 말 그대로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는 뜻이다. 과거엔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해충도 번성하고 또 잡초까지 자라..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小滿 ◆소만(小滿)  ■소만(小滿)  --> [이 달(5월)의 메모] -->--> 옛날에는 보리고개가 시작되는 시기로 농촌에서 견디기 힘들었던 때이다. 산과들에는 아지랑이가 피어나며, 산속에선 뻐꾸기소리가 들려오고, 밤나무 꽃과 함박꽃이 활짝 핀다. 잠자리가 때를 지어 날아들어 여름을 재촉한다.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며, 간혹 황사가 내습하기도 한다.농가월령가에 "4월이라 맹하(맹하) 소만(소만) 절기로다."라 했다.소만이 되면 보리가 익어가며 산에서는 부엉이가 울어 옌다. 이때 쯤이면 '보릿고개'란 말이 있을 정도로 내남없이 양식이 떨어져 가난하고 힘겹게 연명하던 시기다.산과 들판은 신록이 우거져 푸르게 변했고 '추맥(秋麥)'과 '죽맥(竹麥)'이 나타난다.음력 3.4월이면 '권농(권농)의 달'이라 하.. 2005. 6. 17.
[스크랩] 친족의 호칭 및 지칭 친족의 호칭 및 지칭    《 》안은 돌아가신 경우   1. 내가 내 친족을 부르거나 가리킬 때 할아버지        할아버지, 조부(祖父)님할머니            할머니, 할머님, 조모(祖母)님아버지            아버지, 아버님, 부주(父主)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자주(慈主)남편               남편, 여보, 당신, 서방님, 어른아내               여보, 당신, 마누라, 임자형                   형, 형님, 큰형, 작은형, 백형(伯兄), 중형(仲兄)아우               아우, ○○(이름), 둘째, 셋째, 동생형의 아내       형수(兄嫂), 아주머니아우의 아내   제수(弟嫂)씨손윗누이        누나, 누님, 누이손아랫누이 .. 2005. 6. 17.
[스크랩] 촌수 따지는 법 | 남 자 | 여자(고모계) | 외 가 | 친족간 계촌법 | 친가 호칭 | 외가 호칭 | 남 자 (直系)5촌 현조부(玄祖父)|4촌 6촌고조부(高祖父)종고조(從高祖)||3촌5촌7촌증조부(曾祖父)종증조(從曾祖)재종증조(再從曾祖)|||2촌4촌6촌8촌조부(祖父)종조(從祖)재종조(再從祖)3종조(三從祖)||||1촌3촌5촌7촌9촌부(父)백숙부(伯叔父)종백숙부(從伯叔父)재종백숙부(再從伯叔父)3종백숙부(三從伯叔父)|||||0촌2촌 4촌 6촌 8촌10촌나(己)형,제(兄,弟)종형제(從兄弟)재종형제(再從兄弟)3종형제(三從兄弟)4종형제(四從兄弟)||||||1촌3촌5촌7촌9촌11촌아들(子)질(姪)종질(從姪)재종질(再從姪)3종질(三從姪)4종질(四從姪)|||||2촌4촌6촌8촌10촌손자(孫)종손(從孫)재종손(從孫)3종손(三從孫)4종손.. 200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