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5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淸明 ●청명(淸明) 명칭 : 청명 (淸明) · 소개 : 화창해지는 시기로 논농사의 준비작업인 논둑의 가래질을 시작한다. · 시기 : 춘분과 곡우 사이의 절기, 양력 4월 5∼6일 무렵. (2005년 : 4월 5일) · 관련풍속 : 청명주 담그기, 장담그기, 조기잡이 · 속담 :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거꾸로 꽂아놔도 산다 청명(淸明)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음력 3월 절기이며, 양력 4월 5, 6일경이 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다.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다. 이날에 식목일 겹치는 것이 보통인데, 날이 풀리고 화창하여 일년 중 식목에 가장 적당한 시기이기 때문에 식목일을 청명과 같은 날로 잡은..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寒食 ●한식 (寒食) 명칭 : 한식 (寒食) · 소개 :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옛 습관에서 나온 것 · 시기 :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 (2005년 : 4월 5일) · 관련풍속 : 가래질, 논둑 다지기, 논갈이, 못자리 만들기, 성묘하기 · 관련자료 : 한식의 유래 개자추 전설 · 속담 : 정성이 있으면 한식에도 세배간다 한식날 풍속한식은 어느 해나 청명절 바로 다음날이거나 같은 날에 든다. 이때는 양력 4월 5, 6일쯤으로 나무심기에 알맞은 시기이다. 우리나라에서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하여 나무를 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특히, 개자추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비가 내리는 한식을 ‘물한식’이라고 하며, 한식날 비가 오면 그 해에는 풍..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植木日 ◆식목일(植木日) 4월 5일 식목일 유래 [어떻게 생겨났나] 산림청은 1975년 제30회 식목일부터 시행한 3월 21일부터 4월 20일까지 한 달 동안의 ‘국민 나무 심기 기간’ 을 올해부터 3월 1일부터 4월 말까지 두 달 동안으로 늘리는 것과 함께 전국 각 지역별로 세분화했다. 그러나 식목일은 상징성과 역사성을 고려해 종전대로 4월 5일이다. 산림청이 정한 지역별 식목 기간은 △남부 지역(제주·광주·부산·울산·전남·경남) 3월 1일부터 4월 10일 △중부 지역(대전·충남·충북·전북·경북·대구) 3월 10일부터 4월 20일 △북부 지역(서울·인천·경기·강원·북한) 3월 20일부터 4월 말까지. 산림청은 “기후 온난화의 영향으로 2∼3월 평균 기온이 예년보다 2∼3도 높아 나무 심는 시기를 앞당기게 됐..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穀雨 ■ 곡우(穀雨) ● 곡우(穀雨)24절기의 하나. 청명과 입하 사이에 들어 있으며 태양의 황경이 30°에 해당할 때이다. 음력 3월, 양력 4월 20일경이 되며, 그때부터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즉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이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해 볍씨를 담갔는데, 이 때 볍씨를 담가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며 밖에서 부정한 일을 당했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에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는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속신이 있다. 곡우 무렵은 나.. 2005. 6. 17. 이전 1 ··· 354 355 356 357 358 359 360 ··· 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