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5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24 절기表 ■ 24 절기表■24節氣表봄여름가을겨울입춘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 계절(季節)절기명(節氣名)양력 (陽曆)음력(陰曆)기후(氣候)의 특징(特徵)봄(春)立春(입춘)2월3∼5일1월겨울의 절정에서 봄이 조금씩 움튼다雨水(우수)18∼20일얼음이 녹고,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驚蟄(경칩)3월5∼6일2월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난다春分(춘분)20∼22일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봄기운이 무르익는다淸明(청명)4월4∼5일3월하늘은 맑고, 날씨는 따뜻하다穀雨(곡우)20∼21일농사를 재촉하는 비가 내린다여름(夏)立夏(입하)5월5∼6일4월어느새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小滿(소만)20∼21일작은 꽃들이 피고, 여름기운이 서서히 감돈다芒種(망종)6월5∼6일5월보리는 익어서..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한국의 명절 ■ 한국의 명절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설날 부럼과 귀밝이술로 잘 알려진 정월 대보름 찬밥을 먹는 한식 그네뛰고 창포로 머리감는 날 단오 풍년을 기념하는 추석 가져온 곳: [나노식품/나노푸드 (Nanofood)] 글쓴이: Truescience 바로 가기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12달속의 歲時風俗 ■12달속의 세시풍속 ■ 세시풍속 [歲時風俗]:예로부터 해마다 관례(慣例)로서 행하여지는 전승적 행사.집단적 또는 공통적으로 집집마다 촌락마다 또는 민족적으로 관행(慣行)되는 것이 상례이다. 오늘날 행하여지고 있는 세시풍속은 예로부터 정해진 것은 아니며, 또 옛 문헌에 보이는 것 중에는 이름만 남아 있고, 현재 일반적으로 행하지 않는 것도 많이 있다. 한(韓)민족에 의하여 발생되고 전승되어 오는 고유(固有)의 것도 많이 있지만 외국과의 문화 교류를 통하여 전래된 것도 있고, 또 이 외래의 것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한(韓)민족의 색채가 가미되어 있는 것도 많다. ① 정월 행사 : 정월 초하룻날은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로서, 이날을 '설날'이라 하여 연시제(年始祭)를 지내며, 웃어른께 세배를 드린다. 그리.. 2005. 6. 17. [스크랩] ◑풍속/절기/기념일 - 春分 ■춘분(春分)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는 춘분은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로 겨울의 속박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때이다. 추운 북쪽지방에서도 "추위는 춘분까지"라고 했다. 일년 중 춘분에서부터 약 20여일이 기온상승이 가장 큰 때이다. 이때는 춥지도 덥지도 않은 난춘(暖春)시기로 일년 중 농부들이 일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이때를 두고 옛사람이 말하기를 "하루를 밭 갈지 않으면 일년 내내 배부르지 못하다." 했듯이 동양에서는 이 날을 농경일로 삼고 씨앗을 뿌렸다. 춘분때는 이웃끼리 파종할 씨앗을 바꾸어 종자를 정선한다. 겨울철 얼었다 땅이 풀리면서 연약해진 논두렁ㆍ밭두렁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위해 말뚝을 박는다. 또 천수담과 물이 귀한 논에서는 물을 받기 위해 도구를 치기도 했다. 옛 말에 "이월에는 천하의 만민.. 2005. 6. 17. 이전 1 ··· 353 354 355 356 357 358 359 ··· 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