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정계비6 백두산 정계비 건립 당시 석퇴 사진 찾았다 [포커스]정계비 건립 당시 석퇴 사진 찾았다 뉴스메이커 623호 일본군·학자 추정 탐험대 1942년 촬영 10여개 자연석 돌무더기 선명히 드러나 1712년 백두산 정계비 건립 이후 조선과 청의 국경을 표시했던 석퇴(돌무더기)의 선명한 흑백사진이 발견됐다. ‘뉴스메이커’ 간도특별기획취재팀은 1942년 일.. 2005. 8. 27. 백두산 정계비 터 확인됐다 [간도]백두산 정계비 터 확인됐다 뉴스메이커 615호 증언과 문헌기록 토대로 정계비 위치 추정... KBS-TV 다큐멘터리 화면에서 주춧돌 확인돼 '서위압록 동위토문(西爲鴨綠 東爲土門).' 서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삼고 동쪽은 토문강을 경계로 삼는다는 비문으로 간도영유권 주장의 근거가 되는 백두산 정.. 2005. 8. 27. 백두산 정계비, 일제 만주점령뒤에 사라져 백두산 정계비, 일제 만주점령뒤에 사라져 입력: 2005년 02월 16일 17:20:57 청의 강희제는 조선의 심마니들이 백두산을 드나들면서 살인행위를 한다는 보고를 받고 “압록강과 토문강 일대는 우리나라 지방에 속한다. 그러나 길이 멀어서 아직 경계를 분명히 정하지 못했다”고 말하고 국경을 확정지으라.. 2005. 8. 27. 백두산 정계비 터 위치 첫 확인 백두산 정계비 터 위치 첫 확인 입력: 2005년 08월 03일 17:42:42 최근 북한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고구려연구재단이 3일 공개한 백두산 정계비터에 세운 표석 사진. 북측은 만주사변때 일제가 철거했다고 전해지는 백두산 정계비(사진 아래)터에 이 표석을 세웠다. 1712년 조선과 청나라가 국경을 구분하기 .. 2005. 8.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