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하(立夏)
-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
24절기의 하나.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들어 있으며, 음력으로는 4월, 양력으로는 대개 5월 6일 전후에 해당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에 이르렀을 때이다.
이맘때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삿일이 좀더 분망해진다.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입하는 신록을 재촉하는 절기이다.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아울러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들을 없애는 작업도 많다. 송파지역에서는 세시행사의 하나로 입하 무렵 쑥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 |
| |
|
|
|
입하는 말 그대로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는 뜻이다.
과거엔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해충도
번성하고 또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을 제거하는 행사를 권장하였다. 입하에 이르면 그간 일교차가 크고 변화많던
날씨는 안정되고, 천지만물은 무성히 자라기 시작한다. 잎새를 띄운 나뭇잎은 윤기를 더하고 그렇지 않은 나무들은 마지막으로 싹을
띄워 푸르름의 여름으로 넘어가고자 몸부림친다. 이때 마을에는 한두 그루쯤 있는 이팝나무에서 흰꽃이 핀다. 꽃이 마치 흰 쌀밥 같이 온
나뭇가지를 뒤덮으며 피는데 꽃이 한꺼번에 잘 피면 그해 풍년이 들고, 꽃이 신통치 않으면 흉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 조상들은
쌀밥나무라 부른 이팝나무를 통해 그해의 풍흉을 점쳤던 것이다.
역시 계절의 여왕은 이때다. 산에는 뻐꾸기 울어 예고 들에는
온갖 나물들이 지천으로 돋아나 입맛을 돋군다. 녹음이 무성해지고 농가에서는 못자리 돌보기 등의 농사일이
한창일 때다. "입하가 지나면 여름"이라 했지만 산간지방에서는 우박이 내려 담배, 깻잎, 고추 등 어린 모종이 해를 입기도
한다. 또 높새바람이 불어 농작물의 잎을 바짝 마르게 하는 해를 입히기도 한다.
|
| | |
입하는
24절기 중위 일곱 번째 절기이다.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들어 있으며, 음력으로는 4월, 양력으로는 대개 5월 6일 전후에 해당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에 이르렀을 때이다.
이맘때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삿일이 좀더 분망해진다. 파릇한
신록(新綠)이 신비한 색상으로 온 누리를 뒤덮는다.
입하(立夏)는 말
그대로, <여름에 든다>,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는 뜻이다. 여름은 입하(立夏)에서부터 시작하여
입추(立秋)전까지이다.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아울러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들을 없애는
작업도 많다.
옛사람들은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① 청개구리가 울고, ②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 왕과(王瓜: 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곡우전후에 채다한 세작을
茶(차)중에서도 최상품으로 치나, 한국의 茶聖(다성), 초의(艸衣)선사는 '우리의 차(茶)는 곡우 전후보다는 입하(立夏) 전후가 가장 좋다'고
하였다.
옛날엔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해충도 번성하고 또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을 제거하는 행사를
권장하였다. 입하에 이르면 그간 일교차가 크고 변화 많던 날씨는 안정되고, 천지만물은 무성히 자라기 시작한다. 잎새를 띄운 나뭇잎은
윤기를 더하고 그렇지 않은 나무들은 마지막으로 싹을 띄워 푸르름의 여름으로 넘어가고자 몸부림친다. 이때 마을에는 한두 그루쯤
있는 이팝나무에서 흰꽃이 핀다. 꽃이 마치 흰 쌀밥 같이 온 나뭇가지를 뒤덮으며 피는데 꽃이 한꺼번에 잘 피면 그해 풍년이 들고, 꽃이 신통치
않으면 흉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 조상들은 쌀밥나무라
부르는 이팝나무를 통해 그해의 풍흉을 점쳤던 것이다.
역시 계절의 여왕은 이때다. 산에는 뻐꾸기 울어 예고, 들에는 온갖 나물들이 지천으로 돋아나 입맛을
돋군다. 녹음이 무성해지고 농가에서는 못자리 돌보기 등의 농사일이 한창일 때다. "입하가 지나면 여름"이라 했지만 산간지방에서는
우박이 내려 담배, 깻잎, 고추 등 어린 모종이 해를 입기도 한다. 또 높새바람이 불어 농작물의 잎을 바짝 마르게 하는 해를 입히기도
한다.
|
양력 5월(입하절)의 영농 농가메모
구 분 |
상
순 |
중
순 |
하
순 |
식
량
작
물 |
어린모 기계이앙 못자리 설치 |
어린모기계 이앙 못자리 설치 |
어린모 기계 이앙 못자리 설치 |
못자리 물관리 및 바람트기 |
못자리 관리 평균기온이 15℃이상 3~4일간 계속될 때
비닐벗기기 |
못자리 관리 |
못자리 병해충 방제 |
못자리 병해충 방제 |
벼물바구미 방제 |
적기 모내기 토양특성에 따라 밑거름 알맞게 주기 포기수 : 평야지
75~85포기/평 중간지 80~90포기/평 |
적기 모내기(상순과 동일) |
적기 모내기 포기수 : 평야지 75~85포기/평 중간지
80~90포기/평 |
직파 파종 |
직파 파종 |
직파 파종 |
논보리 물뺄도랑 정비 |
논보리 물뺄도랑 정비 |
조생종 보리수확(남부) |
콩, 참깨 파종 |
콩, 참깨 파종 |
옥수수 1차 웃거름 주기 |
옥수수 파종(산간고랭지) 마무리 |
고구마 싹심기(중·북부) |
콩 북주기, 참깨 솎아주기 |
감자밭 물주기와 물빼기 관리 |
보리뒷그루 고구마 모판관리 |
보리뒷그루 고구마 모판관리 |
|
감자밭 물주기와 물빼기 관리 |
감자밭 물주기와 물빼기 관리 |
원
예
작
물 |
고추 아주심기(남부) |
고추 아주심기(중부) |
각종 열매채소 순지르기 |
마늘, 양파 비대기에 물주기 |
마늘 잎마름병 방제 |
열매채소 받침대 설치 |
일찍가꾸기용 열매채소 아주심기 |
열매채소 받침대 설치 |
사과, 배, 복숭아 봉지씌우기 |
배, 복숭아 열매솎기 |
사과, 배, 복숭아 열매솎기 |
과수원 제초제 작업 |
포도 눈따기 |
진딧물 등 화훼류 병해충 방제 |
포도 새순관리 |
종구생산용 구근화훼 포장관리 |
약초 포장관리 |
절화류 표준규격 출하 |
약초파종 및 포장관리 |
|
카네이션, 거베라 등 아주심기 |
축
산
및
특
작
물 |
구제역 차단방역 및 확산방지 |
구제역 차단방역 및 확산방지 |
구제역 차단방역 및 확산방지 |
가축 발정관찰 및 적기수정 |
초지 및 사료포에 웃거름 주기 |
목초 말린꼴 만들기 |
돼지 일본뇌염 예방주사 |
논뒷그루 사료작물 수확 이용 |
소 피부병 예방 및 기생충 구제 |
풋베기용 수수류 파종 |
돼지콜레라, 닭뉴캐슬병 예방주사 |
소 유행열 예방주사 |
봄철 느타리버섯 폐상 소독 실시 포르말린, 증기열 등
이용 |
소 방목시키기와 고창증 예방 |
소 방목시키기와 고창증 예방 |
여름느타리, 영지버섯 발생 및 관리 |
육추사의 환기 및 온도조절 |
봄재배 유채, 귀리 수확 이용 |
여름느타리버섯 종균 및 배지준비 |
봄철 느타리버섯 폐상 소독 실시 포르말린, 증기열 등
이용 |
동충하초 재배 |
영지버섯 땅에 묻기 |
여름느타리, 영지버섯 관리 |
누에 사육중 소독 |
잠실 청소, 잠구류 세척 (1, 2차) |
여름느타리버섯 종균 접종 |
양잠하라솔, 파프졸 이용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