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한국어32

훈민정음 반포 o 출처 : Encyclopedia,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66000043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훈민정음 반포 백성을 위한 문자를 만들다 시대1446년 훈민정음은 1446년 9월에 반포한 한국의 글자이자 해설서의 이름이다. 언어와 문자가 맞지 않아 불편함을 겪는 백성들을 위해 제정한 것으로, 자.. 2019. 10. 10.
말넋 44. 말은 흐르지만 사회는 갇혀서 o 출처 : YES 블로그, http://m.blog.yes24.com/hbooklove/post/7872790 사전 짓는 책숲, 숲노래 우리말 살려쓰기 [말넋] 44. 말은 흐르지만 사회는 갇혀서 숲노래 2014.12.03 말넋 44. 말은 흐르지만 사회는 갇혀서 ― ‘한국말’은 어디에서 있는가 일본사람 사노 요코 님이 쓴 글을 윤성원 님이 한국말로 옮.. 2019. 10. 10.
한글날-세종대왕 o 출처 : exc0105님의 티스토리, https://jwaumyeong.tistory.com/3227 2008년 08월 29일 한글학회 창립 100돌 기념 “말은 나라를 이루는 것인데 말이 오르면 나라도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도 내리나니라. 이러하므로 나라마다 그 말을 힘쓰지 아니할 수 없는 바니라. 글은 말을 담는 그릇이니 이지러짐.. 2019. 10. 10.
향가 연구자 김영회 씨 "기존 향가 해석은 태반이 오류…소리 아닌 의미로 풀어내야" 전헤져 내려오는 신라향가는 25수(首), 170여개 어구 중 102구는 아직껏 해독을 못하고 있다 한다. 향가에 대한 해독은 1918년 일본인 가나자와 쇼자부로 박사가 한 '처용가' 시험해독이 처음이란다. ------------------ o 출처 : 한국경제> 생활문화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9020777401 [저자와.. 2019.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