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한국어32

[신동립 잡기노트] 북한말, 이러다 외국어될라 함께하지 못하고 지낸 지 60여년. 점차 서로의 소통이 간간이 막히는 상황을 남, 북 서로가 인식을 하고는 있다. 북한 말, 외국어가 될 것인가? 문제를 제기하는 기사 한 꼭지. 아래 사진은 왜 이 기사에 이런 사진이 들어갔어야 했는지 이해는 안가지만, 원문에 있기에 같이 옮겨옴. ---------.. 2014. 9. 14.
최종규의 '우리 말 이야기' 고2 때, 친구랑 문집을 낸답시고 원고를 모으러 다니고 몇이 모여서 그 친구네 집에서 밤새우다시피 원고를 등사원지에 옮기고 ( 그 당시 말로는 '가리방'을 긁고) 등사판을 밀고 했던 추억이 있다. 그 과정을 거치면서 새삼 느꼈던 것이, 내 국어 실력이 정말 변변치 못하다는 사실. 나는 맞춤법도 별로.. 2008. 7. 13.
[스크랩] [과학으로 푸는 우리유산] 고조선에 신지글자 있었다-국정브리핑 자료 [과학으로 푸는 우리유산] 고조선에 신지글자 있었다 [국정브리핑 2004-05-29 12:37] 근래에 발견되는 수많은 유물 등을 통해 요하지역이 황하지역보다 오래되었으며 보다 발달했다는 증거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중국의 발달된 선진 문명이 일방적으로 동쪽으로 전파.. 2008. 1. 26.
한글이 새겨있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 출처 : 파란만장 > 누리터 > 황당 유머엽기 http://media.paran.com/ucc/nuri_list.php?part=1875&bbsurl=http%3A//cpboard.paran.com/Board/bbsView.php%3Fboardno%3D300%26menuno%3D1875%26bbs_no%3D02AtI%26bbs_order%3D02AtI%7E%26page%3D1%26sw%3D1%26search%3Dtitle%26keyword%3D%uD55C%uAE00%26bl_io%3D%7E%7E%7E%7E%7E%7E%7E%7E%7E%7E%7E%26pg_io%3D%7E%7E%7E%7E%7E%7E%7E%7E%7E%7E%7E%26db.. 2006.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