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96 [스페셜 리포트/韓·中 역사전쟁 제2탄!] 광개토태왕의 南征北伐 [스페셜 리포트/韓·中 역사전쟁 제2탄!] 광개토태왕의 南征北伐 대흥안령, 사할린까지 영토 개척 경주의 신라시대 고분 호우총에서 발견된 그릇. 중국 5호16국 시대 혼란 이용 팽창정책 추진 왜국 궤멸하며 임라가야 정복… 백제, 奴客 맹세 광개토태왕(이하 ‘태왕’)은 고구려 제19대 왕이다. 태왕은 .. 2007. 3. 22. [스페셜 리포트/韓·中 역사전쟁 제2탄!] 광개토태왕 비문에 나타난 ‘天下觀’ 입체 조명 [스페셜 리포트/韓·中 역사전쟁 제2탄!] 광개토태왕 비문에 나타난 ‘天下觀’ 입체 조명 “고구려는 天孫國, 동방의 패자” 중국 집안시에 있는 광개토태왕비. 중원 민족과 다른 독자연호 사용하며 북방 일대에 대제국 건설 남진 정책은 민족사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통일 의지의 구현 광개토태왕.. 2007. 3. 22. 중국이 보는 고구려 중국이 보는 고구려 中華질서로 귀환시켜야 할 소수민족 우람하게 서 있는 장군총. 장수왕릉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前漢末 王莽朝 때 떨어져나가… 백제·신라보다 강한 臣下 의식 고대로부터 중국인들은 ‘중국’이라는 용어를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해 왔다. 협의(狹義)의 중국은 바로 만국지중.. 2007. 3. 22. 북한이 보는 고구려 북한이 보는 고구려 ‘고조선 옛 땅 되찾는 과업 완수’ 북한의 대표적 고구려 유적인 안악3호 고분의 벽화. ‘사대주의 안 한 나라 고구려뿐’… 중국과의 전쟁과 민족통일에 바친 투쟁 북한에서 고구려사 연구가 그들의 정치적 목적에서 진척되었음은 사실이다. 따라서 북한의 고구려사 연구는 그.. 2007. 3. 22.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