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보는 고구려
‘고조선 옛 땅 되찾는 과업 완수’ |
‘사대주의 안 한 나라 고구려뿐’… 중국과의 전쟁과 민족통일에 바친 투쟁
북한에서 고구려사 연구가 그들의 정치적 목적에서 진척되었음은 사실이다. 따라서 북한의 고구려사 연구는 그들의 정치적 현실과 인민의 투쟁사에 입각한 역사의 왜곡으로 일관되고 있었다. 그만큼 북한의 고구려사 연구는 한국고대사에서 고구려 정통론에 기반을 둔 역사 해석의 획일화에 불과했다. 최근의 개혁 개방의 물결 속에서 북한의 고구려사 서술의 변화상을 기대할 수 있는 책은 ‘고구려사(1)’이다. 이 책은 개인(손영종)의 저서이지만, 국가의 엄격한 심사와 편집을 거쳤기 때문에 북한의 공식 견해로 볼 수 있다. 고구려사(1)은 전 5장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고조선의 문화와 전통을 계승한 고구려는 이미 BC 3세기 초엽(BC 277)에 국가를 이룩한 후 4세기 후엽까지는 고조선의 옛땅을 되찾는 역사적 과업을 이룩하였고, 그 후에는 겨레와 강토를 통일하기 위한 줄기찬 투쟁을 수행한 나라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민족 통일을 위해 진정으로 사대주의 사상이 없는 나라는 고구려뿐이라고 주장한다. 사실 고구려는 북방에 위치하였으므로 자신의 옛땅 수복이나 대중국 전쟁이 불가피했다. 따라서 정복 위주의 고대국가 발전 과정으로 볼 때 민족 통일을 위한 노력은 고구려만의 입장일 수는 없다. 남방에 터를 잡은 신라 역시 북진을 위한 통일 노력은 같은 맥락이라고 하겠다. 다음의 글은 고구려사(1)의 성격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고구려 인민들은 고조선의 옛땅을 찾는 것을 자기의 대외정책의 기본으로 규정하고 수세기간 계속되는 완강한 투쟁을 벌임으로써 마침내 역사적 과업을 완수하였다. 이 투쟁은 자체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반대책을 세우고 실현하기 위한 투쟁과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만 추진될 수 있었다.’ 건국 시기 BC 277년으로 소급 이러한 서술 방향은 “우리나라 력사는 슬기롭고 용감한 우리 인민이 안팎의 원쑤놈들을 반대하여 싸워 이긴 투쟁의 력사이며, 생산과 문화를 끊임없이 발전시켜 온 창조의 력사이다”라는 북한 국정교과서의 표현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고구려사(1)은 역사에서의 투쟁을 정당화하고, 봉건화나 민족 통일을 위한 합법적 과정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대외투쟁에 인민을 동원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이 책은 민족사 발전의 합법칙적 과정에서는 한민족은 하나의 영토에 살아야 하기 때문에, 고구려에 의해 주도된 통일운동은 ‘진보적 역사행위’라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여기서 북한은 고구려의 후예로서 통일을 추진하는 ‘당연한 역사적 소명’이라는 등식으로 국사를 해석하고 있다. 고구려사(1)은 그 내용에서 고구려의 위상을 보다 강화하고 투쟁을 보다 강조한 것과 달리, 봉건 통치사상(유교·불교)에 대한 표현은 크게 완화돼 있다. 고구려사(1)에서 가장 큰 특징은 건국 시기의 소급이다. 즉, 길림성 집안역태평공사(集安驛太平公司:五道嶺)에서 발견된 무기단돌각무덤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을 근거로, ‘상서’ ‘일주서(왕회편)’ ‘위략’ 등에 보이는 구려국(句麗國)을 고구려의 전신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다. BC 5∼4세기의 오도령(五道嶺) 출토 유물이 고대 조선의 것과 같다며 구려국의 존재와 직결시킨 사실이 이것이다. 더구나 보장왕 27년 당의 시어사(侍御史) 가언충(賈言忠)의 ‘고구려 왕조 900년설’(‘삼국사기’ 권22)에 따라 BC 277년을 고구려의 건국 연대로 역산한 것은 타당성의 문제가 있다. 더구나 240년간 다섯 왕이 존재했다는 것은 왕 1세당 48년이 되어 그 실체성에 대한 의문이 크다. 무엇보다 광개토대왕비문(17세손)의 내용에 다섯왕을 임의로 삽입하여 유리왕 즉위년(BC 19)까지 억지로 맞춤으로써 900년설을 합리화한 사실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문제다. 이 책은 고구려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역사의 해석을 의도적으로 바꾸었다. 민족통일을 위해 노력한 나라는 고구려였다는 것이다. 4세기 말부터 ‘겨레와 강토를 통일하기 위한’ 줄기찬 투쟁을 벌였다는 표현은 지나친 역사의 왜곡일 수 있다. 과거 사실은 과거 사실로 해석해야지, 그것을 오늘의 현실과 연결할 때는 역사의 왜곡과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고대국가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정복국가다. 따라서 근초고왕이나 광개토왕, 진흥왕의 업적도 결국 국토의 확장이었다. 그것은 말하자면 대국토 건설인 것이다. 북쪽에 자리한 고구려로서는 어차피 남하정책이 통일의 의지이며, 남쪽에 터를 잡은 백제·신라는 북진정책이 불가피했다. 그러므로 고구려만 통일의 이상을 가진 것은 아니었고, 광개토왕이나 장수왕의 정복 과정이 통일을 위한 운동이라면 진흥왕의 그것도 통일을 위한 정책이 되는 것이다. 중원고구려비에서 보듯 광개토왕·장수왕대의 천하관처럼, 진흥왕도 황룡사(黃龍寺) 9층탑을 세우면 ‘이웃나라가 항복할 것이며 9한이 와서 조공해 왕조가 길이 편안한 것’(隣國降伏九韓來貢)이라는 통일 이상을 갖고 있었다. 고구려사(1)에서는 고구려가 통일을 위해 국력 축적을 꾀하였으며, 농번기에는 대규모 토목공사를 하지 않았으며 폭동기사도 없었다고 쓰고 있다. 그러나 고구려는 성곽 방어체제가 기본방어성, 중간방어성, 최종방어성으로 되어 있어 이미 4세기에 35개의 성을 축조하였으며, 국남 7성과 국동 7성을 광개토왕 3년(394)과 18년(409) 7∼8월에 쌓은 바 있다. 더구나 평양 천도에 수반되는 대성산성·안학궁·동명왕릉·사원 등의 대역사는 대규모의 인력 동원 없이는 불가능한 토목공사다. 실제로 봉상왕 9년 8월의 수리 궁실, 고국원왕 4년 8월의 증축 평양성, 13년 7월의 동화성(東黃城), 광개토왕 2년 8월의 9사찰 조성(創九寺:평양), 3년 8월의 국남(國南) 7성, 18년의 국동(國東) 7성 축성 등이 농번기에 이루어졌다. 따라서 농사를 방해하는 동원이 적었다는 사실은 전혀 인정할 수 없는 내용이다. 이 시기에 폭동 기사가 없었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 오히려 기근이 들어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었다는 기록이 보이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583년(평원왕 25) ‘2월에 영을 내려 급하지 않은 일을 감면하게 하고 여러 군에 관리를 보내 농상(農桑)을 장려하였다’는 사실은 고구려에만 있었던 행사가 아니고, 진흥왕 16년 ‘왕이 북한산부터 돌아올 때 지나는 마을에 1년씩 세금을 면제하고 죄인을 석방했다’(삼국사기 권4)와 같은 왕의 연례적 직능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구려사(1)은 고구려의 역사 전반부는 고조선의 옛땅을 회복하는 과정이었고, 후반부는 겨레와 강토를 통일하려는 투쟁이라는 설명이었다. 나아가 역사는 민족사 발전의 합법칙적 과정이므로 이 과업을 맡은 고구려사의 전개는 봉건국가의 정책이나 인민대중의 요구에 부합한다는 논지다. 따라서 이 책은 역사 서술의 방향이 이러한 틀 속에 얽매였기 때문에 과거 사실의 해석에서 돌이킬 수 없는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역사 서술이나 해석에서의 이러한 일정한 전제는 현실문제를 과거 해석으로 희석시키려는 정치적 의도에 따른 것이다. 수·당과의 싸움으로 일관한 고구려사(2) 고구려사(2)는 고구려의 산업과 통치 조직의 간략한 설명을 제하고는 거의 수· 당과의 싸움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농업·수산업의 해설에 농기구(보습·가래)의 보급과 남새(채소)와 양잠 및 가축문제나 수공업(금·은·석탄)과 제철업 및 염색·요업·방직 등 남한측에서 다루지 않는 ‘일반 백성의 삶의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말하자면 전성기의 고구려 내부에 대한 해설이 첨가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다른 책의 그것과 같이 사건의 설명이나 인물의 평가에서 일정한 틀과 공통된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의 발전은 ‘봉건적 억압과 착취의 강화’로 설명하였으며, 그에 따라 인민대중의 투쟁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고구려사(2)는 전체 5장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1개의 장을 제한 나머지는 전부 외국의 침략에 대한 ‘인민의 투쟁’에 대한 설명이다. 5∼6세기 북방민족과의 탄력적 외교 투쟁과 6세기말 이후 수·당과의 항쟁에 대한 설명이 70% 이상을 차지해 고구려와 투쟁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세의 침략을 물리친 인민들의 거룩한 투쟁은 국가를 보위하는 데 기반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전쟁기에도 국민의 다른 생활과 전쟁과는 별개의 다른 문화의 존재도 있었을 것이다. 동시에 그러한 투쟁이 갖는 의미는 고구려인의 상무적 기상이 되었지만 오랜 항쟁과 고구려 사회의 정치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해 고구려의 멸망 원인도 되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책은 고구려 사회의 외적 강건함의 부각에 초점을 둠으로써 그 사회의 내적 발전 과정과 사회상을 외면하고 말았다. 더구나 연개소문과 그 아들 간의 불화와 갈등에 의한 멸망 과정을 장황하게 설명함으로써 ‘내부의 단결 파괴와 역량의 분산’을 역사적 한계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하나의 역사적 교훈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과거의 사실을 오늘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북한 역사학의 한계는 간과할 수 없다 신형식 이화여대 사학과 교수
월강중앙 [2004년 08월호] 2004.08.13 입력
|
|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셜 리포트/韓·中 역사전쟁 제2탄!] 광개토태왕 비문에 나타난 ‘天下觀’ 입체 조명 (0) | 2007.03.22 |
---|---|
중국이 보는 고구려 (0) | 2007.03.22 |
중국의 역사왜곡 ‘東北工程’의 실체 (0) | 2007.03.22 |
[스페셜 리포트/韓vs中 고구려 역사 대전쟁] 고구려는 한국사다 (0) | 2007.03.22 |
한반도 청동기 역사 1천년 앞당겨진다(종합) (0) | 200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