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196

“장차 잃게 된 조선의 한 건축을 위하여” 야나기 무네요시 기고 전문 o 출처 : 동아닷컴 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00608/101402907/1 “장차 잃게 된 조선의 한 건축을 위하여” 야나기 무네요시 기고 전문 조종엽기자 입력 2020-06-08 03:00수정 2020-06-08 03:00 일제의 광화문 철거를 반대한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의 동아일보 기고 ‘장차 잃게 된 조선의 한 건축을 위하여’를 오늘날 맞춤법으로 고쳤다. ‘이조(李朝)’와 같은 당시 용어는 그대로 살렸다. 이 기고는 1922년 8월 24~28일 동아일보 1면에 (1)~(5)회로 연재됐다. (※) 표시된 문단은 당시 동아일보 기고에는 일제의 사전 검열 탓에 실리지 못했으나, 일본의 잡지 ‘가이조(改造)’ 1922년 9월호에는 실렸던 .. 2020. 6. 8.
부평미군지기지 내 일제 조병창 지하시설 조사 o 출처 : 연합뉴스 https://news.v.daum.net/v/20200521073010058 부평미군지기지 내 일제 조병창 지하시설 조사 홍현기 / 입력 2020.05.21 07:30 정확한 조성 시기·용도 등 확인 목적..유물 발굴도 계획 강제동원 피해자들 "무기 검사하고 보관" 증언 부평미군기지 지하시설 [인천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0. 5. 21.
친일 유적 버릴까 지킬까 부끄러운 유적이기에 더더욱 제자리에서 보존하는 것이 맞다. 윤덕영의 사진도 붙여서 안내문을 붙이고, 윤건영이 극악 친일매국노라는 사실을, 그리고 우리의 치욕수런 과거 역사를 후손들에게 알려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o 출처 : 한겨레21, https://news.v.daum.net/v/20200429103940286 친일 유적 .. 2020. 4. 29.
'직지'보다 138년 앞선 금속활자본…"국내 존재 사실 전혀 몰랐다" o 출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4210600001&code=960100 '직지'보다 138년 앞선 금속활자본…"국내 존재 사실 전혀 몰랐다" 이기환 경향신문 선임기자 lkh@kyunghyang.com / 입력 : 2020.04.21 06:00 수정 : 2020.04.21 09:57 <남명천화상송증도가>에 붙어있는 무신.. 2020.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