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새만금, 미래의 우리의 역사 / 오늘의 그 현장 소식

by 아름다운비행 2006. 4. 1.

우여곡절 끝에 재개된 새만금 방조제공사.

 

오늘의 그 현장 소식 한 편을 옮겨적어봅니다.

 

---------------------------

 

이곳은 방조제 끝막이공사가 한창인 새만금사업현장 입니다.

바야흐로 춘삼월, 봄의 입김이 군데군데 서리고 있건만

이곳의 바다는 아직도 겨울입니다.

새만금사업단은 부안에 끝막이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모든 직원이 대책본부로 이전,

끝막이 공사 성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대법원 승소판결 이후,

이번 달 17일부터 시작된 끝막이 공사는 4월 말경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바다에 새로운 길이 열리기까지는 이제 한 달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방조제 총 33km중 열려있는 2.7km구간을 연결하는 이번 공사는

추가보상을 요구하는 어민들의 해상시위와 그에 편승한 환경단체,

모래를 머금은 세찬 바람과 넘실대는 파도,

상상을 초월하는 유속을 극복해야만 하는 어려운 공사입니다.

 

하지만 우리 공사의 높은 기술력과 직원여러분들의 성원,

그리고 현장직원들의 사명감이 더해져

오늘까지 개방구간 2700m중 870m를 연결하였습니다 .

 

이러한 추세대로라면, 앞으로 30여일 정도만 있으면

바다를 가르는 새로운 길이 열릴 것입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사진자료를 올립니다.

----------------------

 

공사현장사진



               거친 파도를 헤치고 작업 중인 그레이더... 

                                               끝막이 때는

                                      정말 목숨을 담보로 한, 

                            24시간 쉬임없는 작업이 계속됩니다.

                                             파도가 친다고 쉴 수가 없는

                                                           도전입니다.

 

 

            저 멀리에 덤프트럭이 돌을 쏟아 붓고 있습니다.

                                   끝막이 공사는  시간과의 끝없는 싸움입니다.

                   흙이 거센 파도에 씻겨 내려가면서 바닷물이 황토빛으로 변했지만

                                   그 위에서 이 시간에도 작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끝막이 공사에는 덤프 21만대 분량의 돌이 필요합니다.

                                            무게 5톤이 넘는 돌망태도

                        흔적도 없이 쓸려나가는 무서운 바닷물과의 싸움...

                                             저 거친 파도를 뚫고서

                                       돌망태를 쏟아 부어야 합니다.

 

                               개방구간을 통과하는 바닷물,

                    이곳으로 하루 72억톤의 물이 드나듭니다.

 

 

  저 멀리 신시도가 보입니다.

                                                  평온해 보이는 이 길도

                            목숨을 걸고 거친 파도를 이겨내며 돌과 흙을 부어

                                       한 치 한 치 밀고나가며 만든 길입니다.

                                            그 어떤 방조제라도 그 발 아래

                           목숨을 담보로 주야를 가리지 않고 일한 많은 이들의

                                                      땀과 꿈과 희망이

                                                         스며있습니다.

 

            새만금은 이렇게 화창한 날씨가 드물답니다.

 

          땅거미가 깔리는 현장전경이 멋지지 않습니까?

                                                                       그러나

                                                    어두워지고 깜깜한 밤중에도

                                            작업은 쉬지 않고  계속되어야 합니다.

 

 

  배수갑문은 개방구간의 유속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배수갑문이 작아보이지요? 

                               갑문 하나의 크기는 대략  5층 아파트만한 크기입니다.

 

         최종 물막이를 하는 날도 저 배수갑문은 저렇게 활짝 열려있을 것입니다.

                  그래야  최종물막이 구간의 물살흐름이 좀 늦춰질 것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