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를 되찾자]동아시아 제압 가능한 전략
요새 |
중국은 간도를 이렇게
본다(2) 동아시아의 모든 국가는 왜 간도 지역에 관심을 두었을까? 간도가 단지 특정 국가에만 중요한 지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분명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동북 지역을 장악한 국가는 아시아의 강국이었고 이 지역을 상실한 국가는 쇠락의 길을 걸었다. 따라서 동북이 전장화될 때 동아시아 지역은 전운에 휩싸일 수밖에 없었다. 일본이 아시아를 제패하기 위해 도발했을 때나 러시아가 아시아 지역으로 세력을 팽창하던 시기에도 같은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는 간도 지역이 갖는 전략적인 위상 때문이다. 간도는 동아시아를 제압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새라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모리따 리엔(守田利遠)은 〈만주지지〉(滿洲地志)에서 "백두산(중국에서는 장백산이라 부름)은 실로 동아시아의 알프스산이라고 칭할 만한 것으로 이 ![]() 간도는 중국이 세력을 동쪽으로 확대하려고 할 때 장악해야만 하는 필수 지역일 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를 지키는 요새로 인식된 곳이다. 물을 낀 데다 산으로 둘러싸여 사방이 막힌 견고한 지역이다. 동방 패국의 옛터이기도 한 이곳은 그야말로 형세가 전투 시의 요새감이다. 전진하면 점령할 수 있고 후퇴해도 고수할 수 있어서 길림 동남쪽의 천연적인 요새이다. 물 끼고 사방 막힌 견고한 지역 간도가 전략적 요새로 부상하는 데는 러-일전쟁의 형세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예전에는 군사상의 가치를 별로 두지 않았지만 동아시아 세력이 격돌하는 전장이 되자 비로소 이 지역을 중시하기 시작하였다. 이 결과가 결국 1909년 일본이 자의적으로 청나라와 간도협약을 맺어 한-중관계에서 영유권 분쟁을 남기게 하는 불씨가 되었다. 러시아가 간도를 얻으면 일본을 제압할 수 있게 되고, 일본이 이를 얻으면 러시아를 제압할 수 있게 되며, 중국이 이를 잘 이용하면 러시아와 일본을 중국이 제압할 수 있게 되니 매우 중요한 지역일 수밖에 없다. 중국으로서는 간도를 수호할 수 없다면, 길림 역시 수호할 수 없다. 길림을 수호할 수 없다면 서쪽으로 봉황성이나 북쪽으로 흑룡강 또한 다같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중국의 형세는 위태로울 수밖에 없게 된다. 간도는 북만주의 후문이자 대륙 진출을 봉쇄하고 견제할 수 있는 곳이다. 역으로 간도는 동으로 블라디보스토크와 인접하고 북으로 길림에 가까워 북만주로 진출하기에 가장 편리한 곳이다. 변란이 있을 때 그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다. 간도 지역은 중국으로서는 방어전략지 또는 완충지의 역할로서 중요한 곳이다. 일본으로서는 대륙 침공 시 디딤돌 역할 내지 병참기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불가결한 지역이며, 러시아로서는 해양 진출 근거지 또는 방위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다. |
'우리 땅 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두산 일대가 우리땅인 까닭 (0) | 2005.06.17 |
---|---|
[스크랩] 간도는 황금의 땅 (0) | 2005.06.17 |
[스크랩] 을사조약 무효 간도협약도 무효 (0) | 2005.06.17 |
[스크랩] 잊혀진 우리 땅...간도 (0) | 2005.06.17 |
[스크랩] 연해주의 역사적진실 (0) | 200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