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체작목 등

[스크랩] 마늘 - 경영과 유통

by 아름다운비행 2016. 12. 27.
 
마늘의 기원 | 재배기술 | 주아재배 | 조직배양 | 주요병해충 | 생리장해 | 경영과 유통

경영과 유통

마늘 산업의 현황

1. 생산 및 수급현황

(1) 우리나라 마늘재배의 특성

마늘은 우리나라에서 4대 채소(고추, 마늘, 배추, 무)중의 하나로서 특히 고추와 함께 가장 중요한 양념 채소로 하루라도 식탁에 빼놓을 수 없는 조미료이다. 식용의 경우는 주로 조미, 향신료로 많이 쓰이며, 최근에는 마늘 장아찌, 마늘분말, 마늘음료, 마늘빵 등의 가공식품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고, 마늘기 름(Garlic oil)을 이용하여 약품으로도 생산되고 있다. 또한 앞으로 기능성(機能性) 식품으로서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마늘은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분류되며(표 2), 한지형 품종은 우리나라 재배종으로 중북부 지방에서 재배되고, 난지형 품종으로는 대부분 중국에서 도입된 남도마늘과 스페인 도입종인 대 서마늘, 인도네시아 도입종인 자봉마늘 등으로 남부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표 2) 마늘 주요 품종별 특성(1990. 원시)

품종명

생태형

추대

구 중
(g/구)

인편수
(쪽/구)

파종기

수확기

원산지

서 산 종

한지형

완전추대

30∼35

6∼7

10 중하

6 하

재래종

의 성 종

?

?

30∼35

6∼7

"

"

"

단 양 종

?

?

25∼30

6∼7

"

"

"

제 주 종

난지형

?

35∼40

9∼10

8 하

6 상

"

해 남 종

?

?

35∼40

9∼10

8 하

6 상

"

남도마늘

?

?

40∼45

9∼11

9 하

6 상중

중국

자봉마늘

극난지형

물완전추대

20∼25

10∼11

8 하

4 중

인도

대서마늘

?

?

50∼60

12∼13

9 중

5 중하

스페인

마늘은 꽃은 피지만 감수분열시 염색체 대합이상과 상호전좌에 의한 불임으로 종자가 맺히지 않기 때문에 마늘쪽(인편)이나 주아를 통한 영양번식을 한다. 종구의 증식 속도가 한지형 마늘은 4∼5배, 난지형 마 늘은 10배 정도로 낮기 때문에 씨마늘의 갱신에 어려움이 있다. 씨마늘은 직접 생산하거나 구입하여 사 용하고 있는데 2000년도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마늘 경영비중에서 종구비(씨마늘)의 비중이 34.4%로써 종구비의 부담이 상당히 큰 편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마늘은 거의 모두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어 수량이 25∼46%까지 감수되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은 조직배양에 의해 바이러스가 제거된 무병종구(virus-free stock)가 실용화되어 농가에 재배되어 수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마늘이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무병종구 생산 기술은 개발되 었으나 보급되지 못하는 원인은 재배기술 확립 및 경제성이 맞지 않기 때문인데 향후 3∼5년 후에는 실 용화되어 농가에 우량종구가 공급될 전망이다. 마늘은 보통 건구를 생산 할 목적으로 가을에 심어서 다음해 5∼6월에 수확, 건조, 저장하였다가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수시로 시장에 출하하였으나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에 따라 작형도 여러 가지로 분화되 었다.

보통재배는 전국에서 논과 밭에 재배하고 있는 일반적인 재배방식이다. 9∼10월에 파종하여 5∼6월 하 순에 수확하며 주로 김장용 마늘로 이용되기 때문에 건조저장을 잘 하여야 한다. 조숙재배는 주로 남부해안 및 도서지방에서 행해지며 조생종인 남도, 대서, 자봉 마늘을 이용하며 8∼9 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5월에 수확한다. 풋마늘 재배는 남부해안에서 난지형 마늘을 8∼9월에 파종하여 12월부터 4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이다.

2000년도에 마늘 주산단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군지역에서 1,000ha정도 되는 곳으로 전남 신안, 무안, 고흥, 해남, 경남 남해, 경북 의성, 북제주 등이고, 그 외 700∼1,000ha미만 재배지역이 충남 태안, 서산, 경남 창녕, 경북 영천, 남제주 등으로 우리나라 마늘 면적의 65%정도를 점 유하고 있다.

새로운 특징은 난지형 마늘이 1980년대 까지는 전라남북도와 경남지역에 재배되었으나 1990년에는 동해, 서해의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여 삼척지역에서는 대서 마늘, 충남 서산, 태안 등 서해안지역에서는 남도 마늘의 재배 면적이 크게 늘고 있으며, 2001년에 난지형마늘 75.4%, 한지형마늘 24.6%가 재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

(표 3) 연도별 한지형과 난지형의 재배면적

구 분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합 계

43,494

36,241

34,959

39,636

41,973

36,292

37,337

42,416

44,941

37,118

한지형

16,309

13,679

12,433

12,918

12,530

10,382

10,063

10,428

9,909

8,385

난지형

27,185

22,562

22,526

26,718

29,443

25,910

27,274

31,988

35,032

28,733

※ 자 료 : 농림부 통계, 2001

마늘의 상품적 특성은 첫째, 마늘은 양념 채소로 국민 1인당 매일 20g이상씩 먹고 있으며 저온 저장고를 이용 저장시 부패율과 감모율도 크게 줄어서 연중 상품화율을 80%이상 올릴 수 있다. 둘째, 마늘이 조 미료, 향신료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마늘 분말, 마늘 음료, 마늘빵등 가공식품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다. 셋째, 마늘은 양념, 가공품 이외에도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써 계속 개발되므로 소비는 계속 증가 될 것이다.

(2) 마늘의 생산현황

가) 세계의 마늘생산

마늘은 아시아, 유럽, 북미등 전세계에 걸쳐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매년 늘어가고 있다. 1990년에서 1999년까지의 마늘생산 추이는 표 4에서와 같이 재배면적이 765.3천ha에서 983천h a로 연평균 2.5% 증가하고, 생산량은 6,425천톤에서 10,048천톤으로 연평균 4.6% 증가하였다. 나라별 재배면적은 중국이 347.2천ha에서 482.8천ha로 연평균 3.4% 증가하고, 인도가 90.1천ha에서 114.4 천ha로 연평균 2.4 증가한 반면 우리나라는 43.6천ha에서 42.4천ha로 오히려 3%정도 감소되었다

(표 4) 나라별 마늘생산규모 변화

구 분

1990년

1999년

재배면적
(천ha)

생산량
(천톤)

재배면적
(천ha)

생 산 량

규모(천톤)

점유율(%)

중 국

347.2

3,923

482.8

6,466

64.3

인 도

90.1

350

114.4

518

5.2

한 국

43.6

417

42.4

474

4.7

스 페 인

34.9

212

24.1

187

1.9

미 국

9.1

180

18.1

337

3.4

인도네시아

18.5

109

14.9

63

0.6

기 타

221.9

1,2.34

283.8

2,003

19.9

765.3

6,425

983.0

10,048

100

※ 자료 : FAO 통계. 2000

나) 우리나라의 마늘 생산

마늘은 우리 국민 식생활의 필수 조미채소로 재배역사가 오래되고 재배기술이 일반화되어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며 1980년대 중반부터 종구 갱신을 위한 수입산 보급과 재배기술의 발달로 생 산량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9년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조미채소 재배면적 13만 4,100ha 중에서 마늘은 4만 2,000ha로 31.3% 정도 재배되고 있으며, 조미채소 총생산량 163만톤에서 보면 마늘은 484,000톤으로 29.7%를 점유하여 중요한 작목 중의 하나이다. 이를 다시 연도별 (표 5)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도별 마늘 재배면적의 추이를 보면 1970년도에는 15,000ha에서 1990 년도에는 43,000ha 수준으로 증가되었고, 1994년도는 35,000여ha로 1990년보다 8,000ha정도 감소 되었다가 1999년에는 다시 42,416ha로 증가되었다.

생산량은 1970년도에는 약 78,000톤 정도이나 재배면적 증가와 비닐 멀칭재배기술의 도입 등으로 수량이 증가하여 1990년대부터 매년 약 36만∼46만톤 정도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량이 1970년에 비 하여 4.4∼5.6배정도 증가되었다.

이와 같이 연도별 마늘 재배면적 증감이 심한 것은 농민의 재배의사 결정이 전년도의 마늘가격 또는 파종기의 가격, 전년도의 재배면적, 그리고 다른 작목의 가격조건 등에 의하여 재배면적을 확대하거나 줄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매년 재배면적이 상승추세에 있는 것은 월동작물 중 마늘만큼 소득이 높은 노지작물이 아직까지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표 5) 마늘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

연 도

재배면적(ha)

10a당 수량

생산량(M/T)

1970

15,351

508

78,009

1980

37,000

684

253,000

1990

43,643

955

416,774

1991

49,160

977

480,513

1992

43,494

1,068

464,649

1993

36,241

1,084

392,908

1994

34,959

1,036

362,344

1995

39,636

1,165

461,735

1997

43,643

955

416,774

1998

37,337

1,055

393,903

1999

42,416

1,141

483,778

※ 자 료 : 농림부, 「농림통계연보」, 2000

생산량의 변화도 연도간 변동이 심한데 이는 재배면적의 변동요인 외에도 기후조건과 재배기술 그 리고 비료·농약 등 생산에 투입되는 요소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으므로 생산량의 변동이 심한 작목 중의 하나이다.

한편, 지역별 재배면적을 보면(표 6) 1999년 마늘의 총 재배면적 42,416ha 중에서 전남 20,349ha (48%), 경북 4,964ha(11.7%), 충남 3,634ha(8.6%), 경남 6,292ha (14.8%)로 83%가 4개도에 치중되어 있으며, 1,000ha 정도 되는 주산지별로 살펴보면, 전남지역은 신안, 무안, 고흥, 경남은 남해, 창녕, 그리고 경북 의성, 충남 서산, 북제주 등이며, 특히 전남지방은 신안, 무안, 고흥 지역을 중심으로 우 리나라 마늘 재배면적중 2000년 기준으로 43%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표 6) 지역별 마늘 재배면적 및 점유율과 주산지 시군 (1999)

도 별

전 국

전 남

경 남

경 북

충 남

기 타

재배면적(ha)

42,416

20,349

6,292

4,964

3,634

7,177

점 유 율(%)

100

48.0

14.8

11.7

8.6

16.9

주산지 시군

무안

남해

의성

태안

단양

신안

창녕

영천

서산

삼척

해남

합천

군위

당진

북제주

※ 자 료 : 농림부, 「농림통계연보」, 2000

이러한 마늘 생산 특징 중의 하나는 난지형 마늘이 1980년대까지는 전라남북도와 경남지역에 재배 되었으나 1990년 초부터 서해,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여 한지형마늘 재배지역인 태안, 서산지역에 난 지형마늘이 점차 늘어 50∼70%정도 재배되고 있다.

이와 함께 마늘은 각 지역별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첫째, 제주산은 구형이 크며, 쪽수가 적고 충실한 반면 고유의 매운 맛이 육지산보다 덜하고, 대부분 잎마늘 또는 풋마늘 형태로 조기에 출하된다. 건조 마늘용의 생산은 대부분 잎마늘 또는 풋마늘 형태로 조기에 출하되며, 건조 마늘용의 생산은 대부분 자가 소비되며 시장출하는 거의 없다. 둘째, 전남(무안, 신안, 해남, 고흥, 여천) 및 남해산은 휴면이 짧고 맹아와 발근이 빠르며, 구형의 비대가 빠른 조생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또한 인편의 겉껍질이 잘 벗겨지고 다인편(8∼12쪽)이며, 표피의 색은 백색계통으로 구의 짜임새가 약하고 저장성이 낮다. 아울러 산지에 따라 품질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안, 남해, 여천산은 타지역 산에 비해 구의 짜임새가 단단하고 저장성이 높으며 고흥, 해남산은 원형으로 인편이 충실하나 인편이 갈라지는 열구가 많아 장기저장이 어려우며 깐마늘용으로 적당하다. 셋째, 경북 의성, 충북 단양산은 재배역사가 오래되고 토양이 비옥하여 구가 단단하며, 열구가 적고 겉껍질과 뿌리부위 및 줄기부착이 강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구가 균일한 것이 특징적이며, 저장력이 뛰어나 이듬해 햇마늘 출하시까지 저장하여도 저장중 감모와 저장중 부패율이 타 지역산보다 적고 매운 맛 또한 강하다. 넷째로, 충남( 서산)산 마늘은 토지의 경토가 깊고 보수력이 좋은 황토흙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하여 쪽수가 균일하고 구의 짜임새가 단단하나 뿌리 및 줄기의 부착성이 약하다. 마지막으로 강원(삼척)산 마늘은 수확시 기가 타지역보다 늦은 만생종으로 대부분 색택은 옅은 자홍색을 띠며, 선별 출하상태가 양호하고, 구의 크기 및 모양은 서산산과 비슷하고, 인편수(쪽수), 구의 짜임새, 저장기간은 의성산과 비슷하다. 아울러 삼척산은 구의 크기에 비하여 중량이 높아 소비자의 인기는 물론 마늘 종자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다) 10a당 소득과 생산비

마늘의 10a당 소득은 적정재배면적과 생산량에 따라 매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최근 7년간(199

3∼1999) 마늘 재배농가의 10a당 생산량을 표 7에서 보면 1993년에 1,084kg에서 1999년에 1,141kg

으로 증가하였다. 조수입은 같은 기간에 1,584,000원에서 2,002,000원으로 약72% 증가하였고, 경영

비는 415,000원에서 52 2,000원으로 26% 증가하였다. 1999년은 10a당 수량이 1,141kg에 경영비가 7

5만원에 소득은 1,164,000으로 소득율이 61%로 낮아졌다. 앞으로 소득 안정을 위해서는 생력화 재배

등 경영비를 줄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표 7) 연도별 마늘의 소득액

구 분

수량(kg/10a)

조수입(천원)

경영비(천원)

소득액(천원)

소득율(%)

1993

1,084

1,584

415

1,169

74

1995

1,165

2,002

582

1,420

71

1997

1,085

2,270

520

1,750,

77

1999

1,141

1,915

750

1,164

61

※ 자료 : 농촌진흥청, 「농축산물 표준소득」, 각연판

(표 8) 마늘 생산비 및 손익 현황 (단위 : 천원/10a, %)

구 분

'96

'97

증가율

'98

증가율

'99

증가율

조수입 (A)

1,767

2,270

28.5

2,576

13.5

1,915

△25.7

생산비 (B)

1,018

1,056

3.7

1,097

3.9

1,279

16.6

- 직접생산비

·종묘비

·비료비

·노력비

·기 타

887

275

73

485

54

919

279

77

507

56

3.6

1.5

5.5

4.5

3.7

948

323

81

480

64

3.2

15.8

5.2

△5.3

14.3

1,115

440

97

506

72

17.6

36.2

19.8

5.4

12.5

- 간접생산비

·토지용역비

·자본용역비

131

80

51

137

84

53

4.6

5.0

3.9

149

92

57

8.8

9.5

7.5

164

101

63

10.1

9.8

10.5

순수익(A-B)

749

1,214

62.1

1,479

21.8

636

△57.0

※ 자료 : 통계청(농산물생산비 통계). 2000년

한편 2000년도 통계청의 농산물생산비 및 손익현황 자료에 의하면(표 8) 마늘생산비는 '96∼'99년까지 년평균 8.5%씩 증가하는 추세이고, 생산비 가운데 종묘비 34.4%, 노력비 39.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 재배기술 수준에서 종묘비 절감을 위하여 주아를 이용한 종구생산과 노 력비 절감을 위한 작업별(마늘쪽분리, 파종, 수확, 주대절단) 생력 기계화가 이루어지면 충분히 국 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2. 마늘의 소비동향

(1) 소비동향

마늘은 과거에는 조미료·양념수준에서 소비하였으나 경제의 발전과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국민들의 건

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현재는 단순히 양념개념에서 벗어나 인체 생리활성 조절등 기능성 식품

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마늘은 단순히 식물 역할보다는 향신료, 의약품 등의 위치

에서 이용되고 기능성 식물로 발전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더 많은 소비가 기대되는 작물이다.

마늘의 소비량은 경제여건과 국내작황의 영향을 받게 되나 전반적으로 소비가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표 9) 년간 1인당 마늘 소비량 (단위: kg)

구 분

1970

1980

1990

1995

1997

1998

1999

마 늘

쇠 고 기

돼지고기

1.5

1.2

2.6

3.9

2.6

6.3

6.5

4.1

11.8

7.0

6.7

14.8

7.0

7.1

15.3

6.7

7.4

15.1

7.0

8.4

16.1

※ 자 료 : 농촌 진흥청 (한국의 농업주요지표) 2000

(표 9)에서 보면 1990년대 1인당 마늘 소비량이 1.5kg였던 것이 매년 증가하여 1999년에는 1인당 마늘 소비는 7.0kg로 늘었는데, 이는 1990년 국민 1인당 GNP가 10,037$에 도달하면서 육류의 소비량이 크게 늘어나 마늘의 소비도 촉진된 것으로 생각되며, 한국식품개발연구원에 의하면 1인당 소비량이 10kg까 지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마늘은 김치를 비롯한 각종 부식용, 조미료용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데 자료에 의한 용도별 소비비율은 가정용(요식업체 포함) 96.0%, 가공용 4%(건조마늘 3%, 김치용 1%)이며,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한 전국 6대도시 일반 가구의 마늘 용도별 소비비율은 조미료 및 식용 48%, 김장용 33%, 절임용 10%, 기타 9%로 나타났다(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8).

현재 국내에서 마늘 가공품으로 마늘장아찌, 마늘분말, 동결건조분말, 다진 마늘, 마늘빵, 마늘음료, 마 늘식초와 마늘추출물을 이용한 마늘 스프레드 캡술, 아로나민골드 등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일본 에서는 마늘비스킷, 마늘조미료, 마늘 된장, 마늘비누, 마늘목욕제, 건강식품, 가축질병 예방약품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늘파우더 생산이 연간 7∼8%가 증가되고 있다고 한다.

(표 10) 마늘의 최종 소비처별 구성비

가정용
(요식업체포함)

가 공 품

소 계

건조마늘

김치용

100(%)

96

4

3

1

※ 자 료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8「가공용 채소의 수급구조 분석 및 향후전망에 관한 연구」

3. 마늘의 유통

(1) 유통현황

국내시장의 마늘 유통량은 35∼40만톤의 규모이며 수입마늘의 비중은 1996년 3.3%에서 매년 증가하여

1999년 4만 4,738톤으로 11.4%을 차지했다. (표 11)

(표 11) 국내 마늘 유통 현황

(단위 : 톤, %)

구 분

'96

'97

증가율

'98

증가율

'99

증가율

국 산(B)

337,789

302,569

△10.4

322,064

6.4

347,869

7.0

수 입 산(A)

11,434

19,884

73.9

39,747

99.9

44,738

12.6

합계(C=A+B)

349,223

322,453

△7.7

361,811

12.2

392,607

8.5

수입비중(A/C)

3.3

6.2

-

11.0

-

11.4

-

※ 주 : 통마늘기준(냉동마늘·일시저장마늘·초산조제마늘의 수율 80%, 건조마늘의 수율 25% 적용)

이며,국산은 수출을 제외한 물량임

(표 12) '98 수요처별 마늘 유통 현황

(단위 : 톤, %)

구 분

가 정 용

요식업소 및 가공업체용

합 계

요식업소용

가공업체용

소 계

전 체

235,477
(65.1)

86,903
(24.0)

39,431
(10.9)

126,334
(34.9)

361,811
(100.0)

국 산

227,785
(70.7)

67,342
(20.9)

26,937
(8.4)

94,279
(29.3)

322,064
(100.0)

수입산

7,692
(19.4)

19,561
(49.2)

12,494
(31.4)

32,055
(80.6)

39,747
(100.0)

※ 주 1. 수입마늘중 건조·초산조제마늘은 가공업체용, 냉동마늘은 가공업체용 소요량(한국식품공업

협회 : 3,000톤) 이외 물량은 요식업소용으로 가정

2. 수입 냉동마늘과 국산 저장마늘의 유통비율은 가정용 30%, 요식업소용 50%, 가공업체용 20%로

가정

자 료 : 한국농산물냉장협회, 관세청. 1999

마늘의 수요처별 비중을 (표 12)에서 보면 1998년 기준 가정용 65.1%, 요식업소 및 가공업체용으로 34.9 %로 추정하고 있다. 이중 가정용은 국산마늘 사용은 96.7%이고 수입마늘은 3.3%이다. 요식업소 및 가 공업체는 국산마늘 74.6%, 수입마늘은 25.4%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마늘의 농가출하 및 시장유통은 연중 계속되고 있으나 제일 많이 출하되는 시 기는 5∼7월경 집중되고 다음 수확기까지는 감소추세이다(표 13). 집중출하시 기부터 김장철인 11∼12월까지는 통마늘 위주이며 이후에는 주로 깐마늘로 유 통되고 있다.

- 저장마늘 규모는 10∼13만톤이며, 대부분 깐마늘용이고 농가에서 일반창고에 보관시 상품성 보전이 어려운 12월 이후에 주로 출하하며 연중 마늘가격 안정 화 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연도별 마늘 가격은 시장공급량, 품질수준 등에 따라 변화가 심한 편이다. 1998년 도매시장가격은 199 6년 대비 2.4배를 형성하였으나 1999년은 중국산 수입으로 전년대비 40%가 하락하였다.

(표 13 ) 마늘의 월별 시장유통 및 농가출하 물량 비중

(단위 : %)

월 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농가출하

2.0

1.3

3.7

1.4

11.9

17.4

29.2

9.8

8.0

8.0

3.7

3.6

100.0

시장유통

1.0

2.9

2.8

5.2

17.7

12.9

26.8

8.1

6.4

8.4

5.6

2.2

100.0

※ 자 료 : 농림부, 농협중앙회(농촌물가총람).1999

(표 14) 마늘의 농가판매 및 도매시장 가격 현황

(단위 : 원/㎏, %)

구 분

'96

'97

증가율

'98

증가율

'99

증가율

농가판매가격

1,638

2,001

22.2

2,719

35.9

1,520

△44.1

도매시장가격

1,317

1,965

49.2

3,097

57.6

1,859

△40.0

※ 주1. 농가판매가격(중품기준)은 농가출하물량비중(1995년 계절가중치 적용), 도매시장 가격(상품

   기준은 시장유통물량비중으로 가중평균함

  2. 도매시장가격은 난지형 마늘가격이며, 농가판매가격은 한지·난지형 구분을 하지 않은

   산지거래가격임

국내마늘의 농가판매가격을 기준하여 '95년도에 가격($/톤)이 한국 3,430(100), 스페인 1,335(39), 태국 1,047(31), 미국 917(27), 중국 311(9)으로 주요 생산 국가중 우리나라 마늘가격이 높은 수준에 있다. 마늘 가격은 집중 출하시기인 6월에 가장 낮으며, 이후 점차 상승하여 익년 3∼4월중에는 집중 출하시 기보다 2배이상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농가에서는 집중출하시기를 피하여 판매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수확이후 저장출하시기에도 창고 입고비, 냉장비, 감로비, 금융비용, 저장업체 이윤 등이 추가됨 으로써 수확기 출하비용(108원/kg)의 5.1배 수준의 추가 비용(546원/kg)이 발생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깐마늘로 저장출하(12월)할 때는 도매시장 판매원가가 수확기인 6월보다 30.3%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언제 출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가를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주 : 과거 5년간('93.6∼'98.5) 월별가격을 6월가격 기준으로 지수화함

<그림 2> 마늘 도매시장가격지수

4. 수입현황

(1) 마늘 시장개방 내용

우리나라의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상 마늘관련 품목은 2000년 현재 신선 냉장마늘, 일시저장마늘, 건조

마늘, 냉동마늘, 초산조제마늘 등 5개 품목이다.

- 신선냉장마늘은 2000년부터 탈피한 것(깐마늘)과 기타(통마늘)로 구분하였다.

- 냉동마늘과 초산조제마늘은 각각 '93년, '97년에 개방된 품목으로 30%의 기본 관세가 부과되어 수입

하였다.

- 신선냉장마늘·일시저장마늘·건조마늘은 UR협상에 의해 '95년부터 개방되었 으며, 시장접근물량이 설

정되었다.

- 시장접근물량 : '88∼'90년 평균 국내소비량의 3%를 기준으로 5%까지 '95 년∼2004년중 매년 0.2%씩

증량(통마늘 기준)

· '95년 8,680톤 이후 매년 643톤씩 증량되어 2004년 14,467톤 설정(2000년 11,895톤)되었으며, 농수산

물 유통공사가 기본관세(50%)로 수입하고,

- 시장접근물량 이외 물량에 대해서는 고율관세가 부과되며, '88∼'90년 국내외 가격차를 기준으로 '95

∼2004년중 매년 1%씩 감축하였으며,

· 관세는 종량세와 종가세중 고액이 적용되는데, '95년 396%(또는 1,980원 /kg)을 시작으로 매년 4%

(또는 20원/kg)씩 감소하여 2004년에는 360% (또는 1,800원/kg) 부과되고, 일반 수입업체가 자유롭게

수입하게 하였다.

(표 15) 마늘관련 품목의 시장개방내용

품 목 명

시장접근물량(톤)

관 세 율

기준

양허

기본

관세양허내용

기준

양허

2000년

신선냉장마늘

0703.20.0000

8,037

14,467

50

400.0% or

2,000원/kg

양자중 고액

360.0% or

1,800원/kg

양자중 고액

376.0% or

1,880원/kg

양자중 고액

일시저장마늘

0711.90.1000

건 조 마 늘

0712.90.1000

냉 동 마 늘

0710.80.2000

-

30

35.5%

27.0%

30.4%

초산조제마늘

2001.90.9060

30

40.0%

36.0%

37.6%

※ 주 : 양허는 2004년까지 이행의무내용임

(2) 수입실적

- 마늘 수입량은 매년 급증하는 추세이며, 대부분 중국산이 수입되고 있다. (표16)에서 보면 '96년 9천톤

수준에서 '97년 18천톤, '98년 36천톤 등으로 매년 2배씩 증가하였으며, '99년에는 37천톤 수입되었다.

품목별로는 냉동마늘의 수입 증가가 두드러져서 '96∼'99년 평균 수입량 증가율에서 전체 64.3%, 냉동

마늘110.0%, 초산 조제마늘 60.6%, 신선냉장마늘 54.8% 등이었다. 수입단가는 '96년 0.55∼1.00$/kg

에서 '99년에는 0.36∼0.44$/kg로 매년 낮아지고 있다.

' 96 '97 '98 '99

· 신선냉장마늘($/kg) : 1.00 0.63 0.41 0.41

· 냉 동 마 늘 ( 〃 ): 0.69 0.69 0.49 0.41

· 초산조제마늘( 〃 ) : 0.55 0.51 0.43 0.36

(표 16) 마늘 수입 현황

(단위 : 톤, 천불, %)

구 분

단위

'96

'97

증가율

'98

증가율

'99

증가율

신선냉장

물량

6,153

12,939

110.3

25,633

98.1

14,355

△44.0

금액

6,150

8,171

32.9

10,533

28.9

5,939

△43.6

일시저장

물량

-

-

-

-

-

27

-

금액

-

-

-

-

-

11

-

건 조

물량

400

48

△88.0

421

777.1

641

52.3

금액

786

28

△96.4

152

442.9

368

142.1

냉 동

물량

2,043

3,768

84.4

7,795

106.9

18,598

138.6

금액

1,414

2,604

84.2

3,853

48.0

7,664

98.9

초산조제

물량

901

1,634

81.4

2,147

31.4

3,631

69.1

금액

494

834

68.8

913

9.5

1,322

44.8

전 체

물량

9,497

18,389

93.6

35,996

95.7

37,252

3.5

금액

8,844

11,637

31.6

15,451

32.8

15,304

△1.0

※ 자 료 : 한국무역협회. 2000

(3) 수입마늘의 국내 유통현황

가) 유통경로

* 신선냉장마늘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수입물량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도매시장을 경유하지 않고, 중간상인을 통해 유통되거나 실수요자에게 직접 공급토록 하였다.

- 일반 수입업체가 도입하는 통마늘은 깐마늘 공장을 경유하며, 깐마늘 상태 (수입 깐마늘 포함)에서는 중간상인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 일시저장 · 건조 · 초산조제마늘 : 수입업체가 가공업체에 직접 공급한다.

* 냉동마늘

- 중간상인을 경유하거나 수입업체가 직접 가공업체와 요식업소에 공급

- 일부는 다진마늘로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 중국 마늘 수출 현황

1998 1999 2000

생산량(A) 5,814천톤 5,764 6,444

수출량(B) 268 268 354

비중(B/A) 2.3% 4.5 5.5

나) 수입 마늘과 국산 마늘의 경쟁력 비교

▶ 품질 비교

* 신선냉장마늘

- 소비용도에서 수입 통마늘과 깐마늘은 국산마늘과 대등한 수준이나 우리 나라 한지형 마늘보다는

맛과 향이 떨어지고 있다.

- 깐마늘로 가공할 경우 수입 통마늘은 선별 및 손질 상태가 양호하여 국산 보다 수율이 높고 등외품

발생이 적은 편이다.

* 냉동마늘

- 가공용 및 조리용으로 수입산과 국산은 별다른 차이가 없다.

- 다만, 냉동상태이기 때문에 마늘 향이 떨어지고 가공 및 다대기용으로 사용 되며 일반가정의 선호

도는 낮은 편이다.

* 초산조제마늘

- 마늘장아찌용으로 대부분 사용되며 국산마늘과 차이는 없다.

▶ 가격 비교

* '99년 수입 깐마늘은 국산의 80% 가격수준을 형성하고, 수입 냉동 마늘과 초산조제마늘은 20∼30%에

불과하며 특히 집중출하시기인 6∼7월에도 수입 깐마늘이 국산마늘보다 가격이 낮다. 수입 깐마늘은

국산 마늘가격(생산비 기준)의 72.8%, 냉동 및 초산조제마늘은 30% 미만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재배농가에서 수입마늘과 경쟁력에서 앞서려면 생산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생력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림 3〉 한지형 마늘과 수입마늘의 비교(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림 4〉 난지형마늘과 수입마늘의 비교(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표 17) 수입산과 국산 마늘 적정판매가격 비교(단위: 원/㎏)

구 분

깐마늘

냉동마늘

초산조제마늘

국산품(A)

3,664

2,931

2,931

수입품(B)

2,666

766

684

가격차(B/A*100)

72.8%

26.1%

23.3%

※ 주 1. 수입품가격은 일반 수입업체가 관세(2000년)를 부담하고 국내 도매시장에 판매하는 경우('99년

수입단가, 환율 1,150원을 가정)

2. 국산품가격은 생산비('99년 1,121원/kg)를 기준으로 저장마늘 출하기(12∼익년5월) 에 국내도

매시장에 판매하는 경우의 적정가격 냉동 및 초산조제 마늘의 국산품가격은 깐마늘 하품가

격(80% 수준)

마늘 산업의 문제점 및 해결과제

1. 마늘 산업의 문제점

(1) 생 산

가) 우리나라 마늘생산의 73%가 전국 15개 주산단지에서 생산된다. 따라서 연작장애 및 종구퇴화로

단위 수량이 정체되고 생산비가 지속증가 추세에 있다.

- 단위수량(kg/10a) : (`90)955 → (`95)1,165 → (`99)1,141 → (`00)1,056

- 생산비(천원/10a) : (`90)747 → (`95)1,067 → (`99)1,279 → (`00)1,226

나) 파종시기 10월, 수확기5∼6월에 노동력이 집중되어 있고 인력에 의존한 생산으로 경영규모가 영세

하다.

- 0.1ha미만 농가비중 : (`80)90.7% → (`90)85.7% →(`95)82.3%

다) 마늘의 수량증대를 위한 무기질 과다시용 등으로 품질 및 저장성이 저하 되고 있다.

- 상품성 비율(`98, 대서마늘) : 78%(중국산 92%)

라) 마늘생산비 중에서 종구비와 노력비가 72%를 점유하여 생산비 절감을 위한 종구비절감에 기계화

필요하다.

- 생산비중 점유율(2000, 통계청) : 종구대 34.4%, 노력비 39.6%

(2) 유 통

가) 포전판매(밭떼기 거래) 중심의 거래와 생산부터 소비단계까지 다단계의 유통 과정을 거치므로 유통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있다.

마늘유통경로 : 생산자 → 수집상→ 도매상→ 중간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 수매, 저장후 깐마늘 생산하여 도매단계까지 유통비용이 1,700∼1,900원 /kg정도 발생한다.

나) 소비자의 80%정도가 깐마늘 구매로 전환되었으나 깐마늘 유통체계의 미확립 으로 과다한 유통마진의

발생 및 수입품과의 차별화가 미흡하다.

- 깐마늘 포장단위가 전근대적인 방법으로 포장(5관, 10관등)되어 수입품과 혼합이 용이하여 소비

자보다는 위탁상인의 상업이윤 위주로 거래되고 있다.

※ 따라서 다른 작물처럼 유통경로를 단순화시켜 유통비용을 줄이는 판매 방법이 중장기적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

2. 해결과제

(1) 우량종구생산 및 보급

국내 마늘 우량종구 생산·보급은 강원도 삼척, 경북 의성(주아재배)등 극히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부분 3∼5년 이상 한곳에서 동일 품종을 계속 재배하여 종구로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품질도 낮다. 또한 포장 전체를 포전거래하는 지역에서는 마늘 판매후 매년 시

장에서 구입하여 파종되므로 수량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계속적인 우량종구 생산이 필요하다. 그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면

첫째, 농가에서 필요한 종구를 생산하는 마늘 채종포 운영이다. 농가별로 재배면적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한농가당 100∼330 ㎡정도를 매년 운영하면 건전한 우량 종구를 사용하게 되고 아울러 수량 및 품질이 크게 향상 될 수 있다.

둘째, 주아 재배를 통한 종구 생산 및 이용이다. '80년대부터 종구갱신사업으로 주아재배에 의한 종구개량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 '90년대 들어 주아재배법이 확립되어 경북 의성, 경남 남해, 전남 신안, 충북 단양등 주산단지의 많은 농민들이 주아를 이용하여 종구를 생산·이용하고 있다.

마늘은 벼, 콩등 일반작물과 달리 영양번식 작물로 종구의 대량생산이 곤란하므로 농가에서 매년 주아를

이용하여 우량종구를 생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재로써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2000년대 들어서 정

부에서는 주아재배를 적극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주아를 재배할 농가를 신청을 받아 자치 단체와

계약재배하고 수확기에 농협을 통하여 수매하여 다시 다른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이것을 점차 확대되고

성공적인 사업이 될 때 마늘의 수량 및 품질은 한층 더 향상될 것이다.

(2) 마늘 생산비 절감

마늘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먼저 마늘 생산비를 줄여야 한다. 생산비 중에도 비중이 높은

종구비(34.4%)와 노력비(39.6%)의 절감이 최우선 과제이다.

- 종구비 : 단기적으로 우량종구 보급, 중장기적으로 주아재배 기술을 주산지를 중심으로 확대재배와

계속적인 공급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주아재배의 경우 종구비 절감 70% 및 수량증대 17∼29%의

효과로 `99년기준 36∼41%의 생산비 절감효과 있었다.

- 노력비 : 기계화에 의한 일관작업체계화가 필요하다. 트랙터 중심으로 작업체계를 개선시킬 경우

노력비가 24.8% 감소되어 생산비를 10.7% 절감시킬 수 있다.

(표 18)에서와 같이 한지형 마늘재배의 경우 노력이 관행체계의 224시간/10a에서 108.3시간/10a으로

52.5% 절감되고 비용이 1,063천원/10a에서 633천원/10a로 41% 절감된다.

난지형 마늘재배의 경우는 노력이 관행체계의 193시간/10a에서 103.2시간/10a으로 47%가 절감되고, 93

0천원/10a에서 658천원/10a로 29% 절감된다. 따라서 마늘 파종기, 수확기, 줄기절단기 등의 보급 및 활

용도 제고가 중요하다.

(표 18) 노동투하시간 및 소요비용

구 분

노 동 투 하 시 간(시간/10a)

소요비용
(천원/10a)

주 요 작 업

기타

작업

쪽분리

파종

수확

줄기
절단

선별

소계

주요
작업

전작업

한지

인 력

32

33

34

24

18

141

83

224

617

1,063

기계화

2.6

2.0

17.2

2.4

1.1

25.3

83

108.3

187

633

난지

인 력

27

21

24

22

20

114

79

193

479

930

기계화

2.5

1.0

16.4

2.4

1.9

24.2

79

103.2

207

658

※ 주 : 1. 현행의 인력체계 노동투하시간과 소요비용은 농촌진흥청 농업경영관실 2000년 실태조사결과

반영

2. 기계화체계의 노동투하시간과 소요비용은 농업기계화연구소 시산

자료 : 농진청 농업기계화연구소, 2001 주아재배의 도입과 트랙터 활용 중심의 작업체계가 개선되면

노력이 (표 19)에서와 같이 551.5원/kg의 생산비 절감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마늘 생산비는

569.5원/kg으로 긴급관세하에서 국산 깐마늘이 수입 깐마늘과 경쟁 가능한 생산비 809원/kg의

70.4%의 수준에 도달하므로 맛과 향이 우수한 국산마늘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표 19) 마늘 생산비 절감의 효과

구 분

생산비 절감 기대효과

생산비(원/kg)

절감율(%)

절감액(원/kg)

종 구 개 량(A)

△38.5

△431.6

689.4

작업체계개선(B)

△10.7

△119.9

1,001.1

전 체(A+B)

△49.2

△551.5

569.5

※ 주 : '99년 생산비(1,121원/kg)를 기준

자료 : 농림부, 2001「마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토론회

(3) 깐마늘의 유통효율화 소비자의 80%가 깐마늘을 원하고 있고 점차 깐마늘 유통이 더욱 확대 될 것이다.

따라서 깐마늘의 유통효율화를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물류시스템개선으로

불필요한 비용제거 및 소요비용의 절감이다. 깐마늘 공장에서 망에 포장된 통마늘을 구입하여 망을 제

거하고 깐마늘로 가공하고 있으나 팔레트를 이용한 물류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망포장에 소요되는 노

력비, 포장비, 가공단계의 망제거 노력비 등은 불필요하게 되며 수작업으로 하는 상하차를 지게차로

대체하는데 따른 소요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유통단계 축소를 통한 유통비용 절감이다. 전업

농가,주산단지 작목반에서 저장업이나 가공공장을 복합경영하여 기존의 3단계(농가, 저장업체,

깐마늘공장)유통을 2단계로 축소하면 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표 20)에서 깐마늘 유통효율화

노력을 통하여 733원/kg의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국산 깐마늘 가격은 2,931원/kg

으로 긴급관세를 부과한 수입깐마늘 가격 2,996원/kg 보다 낮아져서 경쟁력이 있게 된다.

(표 20) 깐마늘의 유통비용 절감 효과

구 분

수입깐마늘

국산 깐마늘

기존(A)

유통효율(B)

절감액(B-A)

가격(원/kg)

2,996

3,664

2,931

△733

※ 주 : 저장마늘 출하기(12∼익년 5월)와 긴급관세 부과를 가정

자료 : 농림부, 2001,「마늘경쟁력 제고를 위한 토론회」 앞으로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마늘을 생

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품질에 대한 냉혹한 평가와 더불어 지역마다 맛과 향이 독특한 차별화

기술 개발과 품질의 고급화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마늘의 판매 방법 및 표준출하 규격

1. 판매 방법

마늘의 판매방법은 재배면적에 따라 연도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직접 판매하는 것이 20

∼30%이고, 산지수집상이나 저장업체의 판매가 70∼80%정도로 농가 직접판매 비율이 다른 작목보다 낮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산지 수집상이나 유통업자에게 포전매매를 하는 것보다 작목반, 농협등 생산자 단체를

통하여 표준거래 규격에 의하여 직접 출하하면 농가 수취가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확직후 홍수 출하에

의한 가격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생산단체나 조직을 통하여 산지 저온저장 시설을 설치하거나 기존

저온저장시설을 이용하여 출하조절을 하면 좀 더 소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정부에서는 마늘의 가격폭이

크므로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정면적 재배에 의한 적정생산 및 출하 조정을 위한 생

산출하 약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재배농가도 파종부터 적정면적의 재배가 필요하며, 파종 후에 가격

하락이 예상되면 풋마늘로 조기출하하여 가격하락을 방지하고 농가 소득을 증대하는 경영 전략이 필요하다.

(표 43) 마늘의 유통 마진 내역

(단위 : %)

구 분

한지형 마늘

난지형 마늘

의성→서울

서산→서울

무안→서울

고흥→서울

농가 수취율

53.3

50.0

61.7

65.0

유 통 마 진

46.7

50.0

38.3

35.0

마 진

내 용

직접비용

12.6

12.4

7.3

6.9

간접비및

34.1

37.6

31.0

28.1

이 윤

단계별

마 진

출하단계

20.0

21.4

9.7

8.9

도매단계

13.4

14.3

7.2

6.6

소매단계

13.3

14.3

21.4

19.5

한편, 마늘의 유통마진과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33〉 한지형 마늘 유통경로

⊙ 의성 → 서울 (단위 :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산 → 서울 (단위 :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림 34〉난지형 마늘 유통 경로

⊙ 무안 → 서울 (단위 :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고흥 → 서울 (단위 :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표 44) 연도별 마늘의 소득액

구 분

수량
(kg/10a)

조수입
(천원)

경영비
(천원)

소득액
(천원)

소득율
(%)

1992

1,068

1,023

407

616

60

1994

1,036

2,411

485

1,926

80

1996

1,086

1,767

487

1,280

72

1998

1,055

2,576

611

1,965

67

1999

1,141

1,915

751

1,164

61

※ 자료 : 농촌진흥청 농업경영관실 『한국의 농업주요지표』 2000

2. 마늘 시장 동향과 가격

마늘 출하는 주아 풋마늘과 잎마늘이 11월부터 북제주와 남제주에서 출하되기 시작하여 5월말까지 통녕,

무안, 서천지역에서 출하되며 조숙재배는 서귀포에서 5월 상순부터 출하되기 시작하여 6월에는 해남, 무안,

신안지방에서 집중 출하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한지형 보통재배는 6월 상순부터 서산, 의성에서 출하되기

시작 하며 간이 저장된 후 연중 출하된다.

(표 45) 난지형 마늘 가격(1993∼2000)

년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993

1,100

1,181

1,580

1,577

1,635

1,061

1,073

1,498

1,538

1,612

1,540

1,884

1994

3,208

3,330

4,180

5,674

4,625

2,306

2,642

2,423

2,200

2,124

2,423

2,988

1995

3,321

3,208

2,980

1,871

897

1,338

1,246

1,234

1,250

1,330

1,280

962

1996

1,060

1,005

920

720

1,066

1,045

1,442

1,790

1,706

1,547

1,498

1,636

1997

2,276

2,264

2,076

2,048

1,839

2,630

1,991

2,250

2,239

2,114

2,216

2,300

1998

3,012

3,183

3,237

3,678

3,081

2,581

3,012

3,250

3,365

3,354

3,371

2,877

1999

3,002

3,378

3,356

2,577

1,822

1,564

1,720

,1,725

,1,754

1,775

1,569

1,317

2000

1,300

1,472

1,612

1,774

1,754

1,422

1,276

1,451

1,500

1,668

1,608

1,550

※ 자료 : 서울농수산 도매시장괸리공사 「농축산물거래동향연보 」. 2001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림 35〉 난지형 마늘의 월별 가격 동향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림 36〉 한지형 마늘의 월별 가격동향

(표46)한지형 마늘 가격(1992~1997)


년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992

1,750

1,819

1,480

1,165

1,191

1,379

1,407

1,625

1,500

1,369

1,457

1,550

1993

1,645

1,981

2,290

2,586

2,750

 

 

2,337

2,848

2,900

3,023

3,997

1994

5,418

5,683

6,329

6,145

5,750

 

 

3,800

3,800

4,243

4,252

5,254

1995

5,693

5,850

4,836

2,726

2,350

 

 

2,200

2,291

2,166

2,082

1,850

1996

2,060

1,991

1,592

1,560

1,468

 

 

 

2,511

2,419

2,410

3,512

1997

3,904

4,414

3,918

3,131

3,150

3,660

3,798

3,650

3,630

3,730

4,415

4,400

?

최근 5년간 가격동향을 보면 연도간 가격변동이 심한 것은 마늘 수요는 안정되어 있으나 생산량의 증감에

의하여 가격이 변동하고 있다〈그림 35〉. 마늘은 재배지역의 기후 조건과 품종에 따라 출하시기가 다른데

가락동 도매시장의 월별 가격 변동율을 보면〈그림 36〉1994년까지는 3, 4월은 지난해에 생산된 저장물량의

출하와 햇마늘 출하직전으로 가격이 높았으나 1995년이후에는 하우스 햇마늘이 출하되어 4월부터 마늘가

격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5월과 6월은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의 햇마늘 출하로 시장반입량이 가장 많은 시

기이므로 가격이 떨어지고 10월부터 12월은 김장철이므로 마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가장 높다.

3. 포장 및 출하규격

마늘을 선과할 때 표피색깔은 재배지역의 토양색에 따라 달라지며, 보편적으로 백마늘은 수분이 많은 논에서 재배되고 홍마늘은 황토흙에서 재배된다. 밭마늘은 육질이 단단하고 강건한데 비하여 논마늘은 경도가 다소 떨어진다. 상품성 구분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구별된다.

(표 47) 표준 출하규격

구 분

1구의 지름
(cm)

한지형

5.0이상

4.0-5.0이상

3.0-4.0이상

2.0-3.0이상

난지형

5.5이상

4.5-5.5이상

3.5-4.5이상

2.5-3.5이상

단경구 혼입률(%)

5이내

10이내

15이내

20이내

색 깔

품종 고유의 색깔

결점구 혼입률(%)

2이내

5이내

10이내

15이내

열구 혼입률(%)

10이내

20이내

30이내

40이내

이 물(%)

1.0이내

기타 조건

·마늘통의 형상과 색깔이 비슷한 것끼리 포장해야 함
·껍질에 둘러싸여 있고, 건조가 잘 되어야 하며, 줄기는 20㎜정도 남기고 잘라야 하며 부패 또는 변질된 것이 없어야 함

구 분

내 용

포장
치수
(㎜)

1. 겉포장 외치수 : 480(길이)×350(너비)×(270±10)(높이)
2. 패드 외치수 : 460(길이)×330(너비)

포장
재료

1. 겉포장 : KSA1502(외부포장용 골판지)에 규정된 이중양면 골판지 2종 파열강도 14㎏ /㎠이상, 압축장도 450㎏이상, 변형량 20㎜, 수분함량 10.5±2.5%, 발수도 R2로 한다.
2. 패드 : KSA1502(외부포장용 골판지)에 규정된 이중양면 골판지 1종 파열강도 8㎏/㎠ 이상으로 한다.

포장
방법

1. 겉포장 상자 : KSA1003(골판지상자와 합판지상자 형식)의 상자형식 중 A-1형을 적용 한다.

봉합 및 결속

1. 봉합 : 골판지상자의 날개봉합은 폭 2㎜이상의 평철사로 상·하 양면에 각각 2개 이상 씩 봉합하거나, 또는 포장용 감 떼이프로 상·하 양면에 봉합한다.(단, 테이프는 상· 하 중 간면을 봉합하여 초과하지 못함)
2. 결속 : KSA1507(폴리프로필렌밴드)에 규정된 제16호 P.P밴드로 가로 2개소 결박하거 나 또는 연질 폴리끈으로 가로 2개소를 돌림하여 묶는다.

※ 자 료 : 농림부 및 농협중앙회 「농산물표준출하규격집」 우선 좋은 마늘은 크기와 모양이 균일한 한

지형 육쪽마늘을 선별한 것, 참흙에서 재배한 것으로 표피가 담갈색 또는 담적색인 것, 쪽수가 적고

짜임새가 단단하고 알차 보이는 것, 인편을 감싸고 있는 겉껍질과 속껍질 부착이 매우 강한 것, 구의

외형이 둥글고 깨끗하며 고유의 매운 맛이 강한 것, 햇마늘은 건조가 양호하여 저장성이 강하고 저

장마늘은 싹이 돋지 않고 육질이 견고하며 공각이 없고 변색되지 않은 것 등이다. 다음으로 좋지

않은 마늘은 난지형 마늘로서 여러 쪽(10쪽 이상)이며 마늘통이 작은 것, 모양이 바르지 못하고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며 깨끗해 보이지 않는 것, 짜임새가 엉성해 보이면서 껍질이 잘 벗겨지는 것,

표피색이 흰색 또는 암적색, 검은색인 것, 저장마늘은 싹이 트고 썩은 공간이 많고 육질이 노랗게

변질되거나 쭈글쭈글한 것 등이다. 한편 농산물 표준거래 단위는 5㎏, 10㎏, 20㎏의 그물망과

골판지상자이며, 여기서는 20㎏ 그물망 및 골판지상자 포장규격(표 48)을예로 제시하고자한다.

(표 48) 포장 규격

구 분

내 용

포장치수(㎜)

1. 겉포장 : (800±30)(길이)×450(너비), 중량 35g이상(봉합끈 포함)
2. 봉합끈 : 980(길이)이상

포장재료

1. 겉포장 :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섬유(Monofilament)사로서 1×1로 직조된 적색 그물망대(또는 이와 동등한 효력을 갖는 망대)로 하고, 밑부분 봉재는 PP4합사로 봉재함
2. 봉합끈 : 폭 30㎜, 두께 0.02㎜이상의 HDPE(또는 이와 동등한 효력을 갖는 재료)끈으로 함

포장방법

1. 겉포장 : 망대에 마늘을 넣고난 후 PE끈으로 묶는다.

※ 자료 : 농림부 및 농협중앙회, 「농산물표준출하규격집」

 

[출처]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출처 : 인제에서 농사짓는 강원청년
글쓴이 : 강원청년 원글보기
메모 :

'대체작목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늘 - 경영과 유통  (0) 2016.12.27
총체보리  (0) 2006.08.22
해바라기 - 벼농사 2배 수입  (0) 200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