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화성(華城)은 알고 만석거(萬石渠)는 몰랐다?
정조대왕이 누군진 아나?
.....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일..
그러니
농진청 나가면 그 자리 택지개발한다는 소리나 나오지.
구 서울농대 자리도 택지로는 딱이지.
수원이 한국농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게 된
가장 큰 원동력이
정조대왕이 만든 만석거,
그 만석거를 만들면서 지금의 화서역, 수원역 일대가
천수답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쌀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리고 전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울만큼 놀라운
우리나라 최초의 계획도시 화성,
그 화성의 건축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농업 중심지로 우뚝서게 되었다는 사실.
그런데 지금 수원시는
광교신도시로도 모자라 영통, 호매실, 권선지구, ...
온통 아파트촌,
그리고 아직 개발은 안했지만 이미 도시계획이 수립되어 있어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즉 아파트촌이 될 날을 기다리는 고색 일대 등 많은 택지, 택지, 택지 ...
국민 개개인의 역사인식 부족도 문제지만
공무원의 역사인식 부족은
정말
두려워해야 할 일이다.
왜?
공무원은
자기네들 맘대로 쉽게 '개발'이라는 미명으로
아무데나 마음대로 파헤칠 수 있는 사람들이니까.
그래서 무섭다.
-----------------------------------------
정조때 농사용 조성 인공 저수지 '만석거' 70%가량 매립
수원시 "역사적 가치 몰랐다"..수질도 농사용 부적합
(수원=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 "일제는 조선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만석거(萬石渠)를 훼손했는데 수원시는 만석거 개발 당시 정조가 만든 저수지라는 사실조차도 몰랐습니다."
한신대 국사학과 유봉학 교수는 1일 "1990년대 후반에 만석거 매립당시 개발 반대 운동을 펼쳤지만 매립을 막지 못했다"며 수원시의 개발계획에 쓴소리를 했다.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만석거는 조선조 성군 정조가 1795년 수원 일대에 조성한 국영시범농장에 물을 대려고 만든 인공 저수지로, 이 저수지로 인해 쌀을 1만석 더 생산하게 되자 이름을 만석거로 불렀다.
만석거는 일제에 의해 일부 훼손됐고, 1996년 수원시가 326억원을 들여 공원으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원형의 3분지 2가량을 무단 매립하는 바람에 현재 24만7천여㎡만 남아있다.
만석거를 공원으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화유적조사도 하지 않고 개발에 착수, 사학계 인사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기로 했다.
만석거는 현재 수원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됐을 뿐 도의 문화유적 지정을 받지 못해 각종 개발시 문화재보호법의 보호도 받지 못한다.
만석거를 매립한 지역에는 운동장, 테니스장, 야외음악당, 주차장 등이 들어서 있고 야외음악당에서는 수시로 각종 음악회가 열려 인근 주민들이 소음에 시달리고 있다.
남아있는 저수지도 인근 아파트 단지 등에서 각종 오폐수가 유입되면서 COD(화학적 산소요구량)가 지난 6월 기준 8ppm에 달한다.
만석거 인근에 거주하는 김모(50)씨는 "오염된 저수지 한복판에 대형 분수대를 설치, 바람이 불면 오염된 물이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날려 불쾌감을 주고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성곽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록하면서 농사용으로 조성한 인공저수지는 훼손하는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고 흥분했다.
이와 함께 정조가 만석거의 성공을 기반으로 하류에 조성한 서호저수지도 만석거가 공원으로 조성되던 해에 전체의 30%가량이 매립됐다.
서호저수지는 수질관리도 안돼 지난 6월 COD(화학적산소요구량)가 12ppm으로 농업용수로도 쓸 수 없다는 판정을 받았다.
유 교수는 "실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역사의식을 없어 만석거를 훼손했다"며 "하루빨리 문화유적으로 지정해 더 이상의 훼손은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만석거가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곳인지 몰랐다"며 "특별히 관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zorba@yna.co.kr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실의궤·동의보감 '살균소독'한다> (0) | 2012.01.29 |
---|---|
[러 외교문서로 밝혀진 구한말 비사] (1)초대 대리공사 베베르의 수기 (0) | 2012.01.27 |
조선은 왜 근대화 실패했나 (0) | 2011.08.10 |
한·일 100년 대기획 시리즈 총목차 - 서울신문 (0) | 2011.08.10 |
[한·일 100년 대기획] <23·끝> 한·일 새로운 100년을 위해-日 한국전문가 3인 좌담 (0) | 201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