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청각의 별당격인 군자정(君子亭). 보물 182호. 대청마루와 방 세 칸이 붙어 있는 구조다. |
ⓒ 장호철 |
역사적 인물의 이름을 따 길 이름을 붙이는 전통은 이 땅에서는 그리 오래지 않다. 수도 서울 거리에 세종 임금, 퇴계 이황, 이충무공, 을지문덕 등의 이름이 붙이게 된 게 그 시초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지방에 이런 형식의 이름 붙이기가 파급되기 시작한 것은 지방자치제 시행과 함께 지역 인물에 대한 조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부터다.
그런데 이런 형식의 이면에는 단순히 지역 인물을 기린다는 의미보다 역사적 인물과 그 흔적을 꾸밈으로써 관광수입을 늘리려는 지자체의 이해가 더 커 보이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멀쩡하게 살아 있는 인물이 주인공이 되는 웃지 못할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안동에 '퇴계로'가 있다는 건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와룡면을 거쳐 퇴계 종가와 도산서원으로 가는, 옛 시청에서 시군 경계까지의 길이 바로 퇴계로다. 그 길은 어쩌면 생전의 퇴계가 밟았던 길일지도 모르는 일이니 그 이름이 주는 느낌은 매우 자연스럽다.
▲ 석주로. 왼편에 임청각이 있고, 곧장 가면 안동댐이다. |
ⓒ 장호철 |
▲ 중앙선 철길 옆에 세워진 임청각 이정표. 뒤의 구조물은 철길 방음벽이다. |
ⓒ 장호철 |
시를 휘감고 흐르는 낙동강변의 순환도로가 '육사로(陸史路)'고, 그 길의 끝자락에서 안동댐에 이르는 길이 '석주로(石洲路)'다. 육사라면 '광야(曠野)'의 시인, 이활(李活)이라는 걸 그만그만한 이들은 다 알아채지만, 석주는 안동 사람에게도 그리 귀에 익은 이름은 아닌 듯하다. 그러나 '임청각(臨淸閣)'을 들먹이면 열에 아홉은 '아, 거기……'하고 고개를 주억거리게 된다.
독립 후 62년, 여전히 무국적자인 독립투사들
석주 이상룡(李相龍, 1858~1932) 선생이 당신의 삶과 그 자취로서가 아니라 유서 깊은 고성 이씨 고택에 곁들여만 기억되는 것은 안타깝고 서운한 일이지만, 광복 예순두 돌을 맞은 현재까지 선생이 단재 신채호, 여천 홍범도, 부재 이상설, 노은 김규식 등의 독립운동가와 함께 대한민국 국적을 얻지 못한 무국적자라는 사실에 비추면 그리 타박할 일만 아닐지 모른다.
▲ 석주 이상룡 선생. 1925년 임시정부 국무령 취임 때 기념 촬영한 사진이다. | |
ⓒ 석주 이상룡 선생 기념사업부 홈페이지 |
광복 후 정부는 기존 호적에 등재된 이들에게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했고, 호적이 없었던 이들은 당연히 국적을 얻지 못했다. 2005년 8월 여·야 의원 38명이 국적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관련법 3개를 내놓았지만 이 법안들은 해를 넘기며 상임위에 계류 중이다.
1858년 안동 임청각에서 태어난 석주는 퇴계의 학통을 이은 영남의 유학자 서산 김흥락의 가르침을 받았다. 강화도 조약에 충격을 받고 척사위정(斥邪衛正) 활동을 하다가 일제가 을미사변을 일으키자 책을 덮고 구국 의병활동을 시작하였는데, 이때 그의 나이 서른여덟이었다.
1907년 석주는 동산 류인식, 일송 김동삼 등과 함께 협동학교를 세웠다. 경술년에 나라를 잃자 이듬해, 쉰셋의 나이로 인척 50여 가구를 이끌고 서간도로 망명하였다. 1914년에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를 설립, 독판(督辦)으로 취임하고 부설 신흥무관학교를 열었다.
1925년 9월 상해 임시정부의 개정헌법에 따라 석주는 초대 국무령(국가원수)에 선출되었다. 이후 남북 만주의 항일단체와 독립군단의 통합을 시도하다 1932년 75세를 일기로 길림성 서란현에서 순국하였다.
석주와 우당이 전 재산 팔아 만든 '독립운동의 산실' 신흥무관학교
석주의 생애는 흔히 조선 최고 명문가의 후예로 나라를 잃자 전 재산을 팔아 마련한, 오늘날의 화폐 가치로 400억원가량의 자금과 혈족을 이끌고 간도로 망명, 석주와 함께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한 아나키스트 우당 이회영 선생과 비견된다.
|
우당은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청상과부가 된 누이를 재가시키는 등 인습을 거부한 이다. 석주도 다르지 않다. 그는 "공자·맹자는 시렁 위에 얹어두고 나라를 되찾은 뒤에 읽어도 늦지 않다"며 서간도 망명을 감행한다. 사당에 나아가 망명의 사유를 아뢴 석주는 친척들의 비난을 무릅쓰고 그 신주를 땅에 묻고 길을 떠났다.
50여 년에 걸친 석주의 구국 운동은 무력항일투쟁, 여러 독립운동 조직의 통합과 대동단결을 위한 노력으로 압축된다. 간도 망명 이래, 석주는 독립운동 계열의 의견조정과 단합을 위해 힘쓰고 독립운동계의 분열을 막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석주가 한족회 산하 단체로 구성된 남만주 독립운동의 총본영인 군정부(軍政府)의 총재가 된 후, 이동녕·이시영 등이 상해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통합을 요청했다. 석주는 "이미 정부를 세웠으니 광복 대도에 분열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동지들을 설득했다. 그리하여 군정부를 서로군정서로, 총재를 독판으로, 독립군을 의용대로 고쳐 부르게 한 것은 석주의 지향이 단결과 통합이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완고한 유림의 본고장 안동에서 성장하였으나 석주는 고루한 관념적 항일에 머물지 않았다. 석주는 조국독립의 방안으로 외교론·준비론·실력양성론 등을 물리치고 무력항일투쟁을 일관되게 주장하였다.
석주는 임정을 다시금 독립운동의 중심으로 세우고 분열된 독립운동계에 활력과 연대감을 불어넣기 위하여 임시정부 국무령에 취임하였다. 또 김좌진·김동삼 등을 국무위원에 임명하여 임정이 다시금 활발한 항일 무장투쟁을 이끌기를 희망했다.
▲ 석주 선생 이상룡 구국기념비. 대구 달성공원에 있다. | |
ⓒ 석주 이상룡 선생 기념사업부 홈페이지 |
석주는 일제 치하의 조국에는 시신으로라도 돌아가지 않기를 원했다. "조선 땅이 해방되기 전에는 데려갈 생각을 마라. 조선이 독립되면 내 유골을 유지에 싸서 조상 발치에 묻어 달라. 외세 때문에 주저하지 말고 더욱 힘써 목적을 관철하라." 석주의 유언이다.
육사로가 끝나는 곳에서 시작되는 석주로 들머리에, 한때 석주가 독립자금 충당을 위해 1천원의 거금에 매매를 시도했다는 고성 이씨의 17대째 대종가, 안채·중채·사랑채·사당·행랑채·별당 등을 갖춘 전형적인 조선시대 양반 가옥인 임청각이 있다.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동쪽 언덕에 올라 길게 휘파람 불고 맑은 시냇가에서 시를 짓는다(등동고이서소 登東皐以舒嘯 임청류이부시 臨淸流而賦詩)'는 시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임청각은 99칸 규모로 안동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양반 가옥인데, 이 고택에서 석주를 비롯해 무려 아홉 분의 독립운동가가 태어났다. 석주와 함께 간도 망명을 떠났던 당숙 이승화(애족장), 아우인 상동(애족장), 봉희(독립장), 조카로 상동의 아들인 운형(애족장), 형국(애국장), 봉희의 아들인 광민(독립장), 친아들 준형(애국장), 친손자 병화(독립장)가 그들이다.
▲ 법흥 고가도로 쪽에서 바라본 길거리 안내판. 여기서부터 안동댐까지가 석주로다. |
ⓒ 장호철 |
▲ 임청각의 사당. 석주가 신주를 묻고 망명을 떠나 현재 봉안된 신위가 없다. |
ⓒ 석주 이상룡 선생 기념사업부 홈페이지 |
당숙 이승화 선생까지 넣으면 무려 4대에 걸친 이바지다. 석주의 부인은 협동학교를 열었던 도사댁 백하 김대락의 맏누이로, 여성으로 안동지방에서 유일하게 건국훈장을 받은 김락 여사와 자매간이다. 모두 만만찮은 기개를 지닌 인물들이다.
호의호식한 친일파 후손, 고아원 전전한 독립투사 후손
그러나 이 땅에서 '나라를 위한 희생에 대한 보상'은 "친일파 자손은 3대가 떵떵거리며 살고, 독립운동가 자손은 3대가 고통 받는다"는 역설적 진실로 마무리된다. 신생 대한민국의 '청산하지 못한 역사'를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경구다.
독립지사의 고통과 가난은 가족에게 대물림되었다. 석주의 후손들은 어린 시절 고아원을 전전하는 등의 수모를 당해야 했다. 친일파 후손들이 부와 영화를 상속받으며 기득권을 오롯이 지켜오고 매국의 상급(賞給)으로 받은 땅을 찾기 위한 소송이 줄을 잇고 있던 2002년, 석주의 후손들은 가세가 기울었음에도 팔지 않고 지켜오던 종가 임청각을 마침내 국가에 바치고자 했다.
그들은 임청각을 관리 유지할 힘이 없다고 고백했다. 그렇지만 기실은 명백한 사유재산임에도 그것을 우리 사회의 공공재로 인식한 결과로 보는 게 온당하다. 사학에 대한 공공성 강화를 사유재산권 침해라고 강변하며 헌법소원을 낸 '육영사업가'들과 비견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 전통 명가의 임청각 국가 헌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까닭 또한 고단한 근대사의 묵은 상처들이다.
석주로로 달려가도 석주의 고택은 보이지 않는다. 임청각 대문 앞에 바투 들어선 중앙선 철길 탓이다. 대를 이어 걸출한 독립지사를 배출한 이 명가의 내력을 못마땅하게 여긴 일제가 마당을 가로지르는 철길을 놓아 집안의 기를 끊고자 했다고 전해진다.
▲ 임청각 전경. 대문에 바투 붙어 중앙선 철길이 지나간다. |
ⓒ 석주 이상룡 선생 기념사업부 홈페이지 |
▲ 임청각 부근의 신세동 칠층전탑(국보 16호). 왼쪽에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이 보인다. | |
ⓒ 장호철 |
철도 부설이 부적절한 곳에다 일제가 일부러 철길을 놓은 셈인데, 그 탓에 99칸이던 임청각은 지금 70여 칸만 남아 있다. 철로로 인해 이 명가의 기운이 끊겼는지는 알 수 없으나, 낙동강을 굽어보던 시원스런 경치가 사라진 것은 분명하다.
이 전통 명가의 수난은 광복 후에도 그치지 않았다. 1944년부터 이 집은 철도 선로반원들의 합숙소로 징발되어 쓰이면서 심하게 훼손되었다. 임청각은 옛 모습을 되찾기 위해 철도국이 영주로 옮겨가고 건물 해체·복원이 이루어지는 1975년까지 기다려야 했다.
이 한 맺힌 고택을 굽어보고 천년 세월을 지켜온 통일신라시대의 벽돌로 쌓은 탑(국보 16호 신세동 칠층전탑)이 지척에서 그 세월을 위로하고 있으니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지금도 이 오백 년 고택은 밤낮으로 발치를 오가는 철마의 쇳소리를 들으며 이 땅의 고단한 역사를 침묵으로 증언하고 있다.
|
'역사 2 (인물,소설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전] 김삼웅의 안중근 평전 (0) | 2008.06.22 |
---|---|
독립운동가의 후손이 이렇게 홀대받아야 하는가? - 홍병준 선생 (0) | 2007.12.02 |
단재 신채호, 그는 아직도 대한민국 국적자가 아니다 (0) | 2007.12.02 |
'항해왕' 엔리케 왕자, 그리고 "스페인에 나타난 신라인" (0) | 2007.04.25 |
<세종실록>으로 거슬러 오르다 ①인간 세종 (0) | 2007.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