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위기에 처한 농민을 돕기 위한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업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지금 농지를 시가에 사주고 나중에 5~8년 후 그 당시의 시가로 다시 찾아간다("환매")는 것인데..
아래 기사에서도 나오지만,
지금 당장 경매로 넘어가면 보통 2차 정도까지 경매가 간다고 볼 때
정상농지가의 60~70%선에 넘어가고 말고,
통상 근저당권자인 농협 등이 자신들의 권리금을 찾아가고 나면
농민들은 한 푼도 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각종비용 + 연체이자 + 정상이자 + 원금"해서 빼가고나면 아무 것도 남는게 없다.
말 그대로 '땅을 뺐기는' 셈.
그런 위기를 구해주고자 시작한 사업인데..
문제는 우선 두 가지가 부각된다.
첫째는, 지가가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농민이 나중에 농지를 다시 찾아갈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논의다.
우선, 나중에, 농지가가 오르면 농민들이 무슨 재주로 그 오른 농지가를 감당하나?
나중에 판 사람에게 구입권한을 우선적으로 준다는 "환매"는 좋은데,
다 알다시피 농사라는 것이 기술혁신에 의한 획기적인 이익증대 방안이 통하는 그런 분야가 아니고
더군다나 저가의 외국 농산물이 쏟아져 들어오면
국산 농산물은 그 설 자리 찾기도 버거울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인데..
그 오르는 지가를 무슨 수로 쫓아가서 나중에 다시 찾아갈 수 있나?
그리고, 만약 나중에 환매해 갈 당시의 '시가'가 아니고
지금 한국농촌공사에 매도한 가격에 적정한 정도의 금액을 더해 찾아간다면,
농민 입장에서는 더 없이 좋은 제도가 될 수 있다.
형편이 어려운 지금 도움을 받고,
나중에 여력을 회복해 다시 자신의 농지를 찾아갈 수 있으니까.
그러나 지금 정부의 도움이 필요한 곳은 농촌만이 아니다.
그래서 전국민 형평의 차원에서 농림부를 제외한 타부처에서 반대여론이 많아
환매가는 환매시점에서의 시가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그럼, 두 번째로, 지가가 하락되었을 경우를 생각해 보자.
농민 입장에서는 지가가 매도시점보다 환매시점에서 더 낮다면,
당연히 환매시점에서의 '시가'를 주장할 것이다.
그래야 자신들의 입장에서 더 유리하니까.
그럼, 위에 적은대로 매도시점에서의 지가에
적정한 수준의 부가경비('관리비용'이랄까.. 뭐 그런 비용)를 더한 정도의 가격으로
환매를 해간다 하자.
이 방법 역시 농민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방법이다.
지가는 떨어졌으니 당연히 떨어진 지가로 해야지,
무슨 부가경비가 더해진 가격이냐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농민의 경영위기를 도와 회생을 지원해주는 정부나 한국농촌공사의 입장에서도
이렇게 지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되면 참으로 난감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지가는 매입시점보다 떨어졌는데 환매하면서 지가를 올려받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비난을 받을 것이다. 경영위기에 처한 농가의 농지를 담보로 이익을 추구한다고.
아무리 생각해도 이 "경영회생지원사업'은 어려운 사업이다.
농민입장에서도 어려운 일이 될 것이고,
도와주는 정부나 한국농촌공사의 입장에서도 어려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래는 농민신문에 실린,
경영회생지원사업의 내용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의 신문기사.
* 농민신문에서 옮겨옴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25069&subMenu=readcnt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 개선을” | |
|
'이 땅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마중 - 샘밭사두농장 (0) | 2006.07.29 |
---|---|
간척지의 나무생장 실험지 (0) | 2006.06.11 |
아름다움 (0) | 2006.05.25 |
생명의 신비로움 (0) | 2006.05.17 |
주목에 핀 꽃 (0) | 2006.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