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하선 촬영지
|
위 치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 등 |
홈페이지 : 영화 [취화선] www.chihwaseon.com 줄 거 리 : 1850년대, 청계천 거지소굴 근처에서 거지패들에게 죽도록 맞고있던 어린 승업을 김병문이 구해주고 승업은 맞은 내력을 설명하며 김선비에게 그림을 그려보인다. 세도정치에 편승하 지 않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던 김선비. 거칠지만 비범한 승업의 실력을 눈여겨보고... 5년 만에 재회한 승업을 엘리트이자 역관 이응헌에게 소개하는데... 승업에게 진정한 예술가의 자세를 추구할 것을 독려하고 선대의 명화가들처럼 훌륭한 화가가 되라는 뜻에서 오원이라 는 호를 지어준 김선비는 승업의 피드백 역할을 해주는 평생의 조언자였고 그런 승업은 행 운아였다... 이응헌의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면서 그림의 안목을 키워가는 중 이응헌의 여동생 소운에게 한눈에 반해버리지만 가슴 설레는 첫사랑은 소운의 결혼으로 끝나고...화가로 자리잡기 시 작할 무렵 병을 앓던 소운이 죽어가며 자신의 그림을 청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달려가는데. 화가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할 즈음 독실한 천주교 신자로 몰락한 양반 집안의 딸인 기생 매향의 생황연주에 매료된 승업. 매향은 승업이 그려준 그림에 제발을 써넣으며 아스라한 인연을 맺어나간다. 계속되는 천주교 박해로 두 번의 이별과 재회를 하고... 켜켜히 쌓인 정과 연민, 승업의 세계를 공감하고 유일한 여인이자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는 고매한 사랑... 아무도 그를 곁에 붙잡아둘 수 없었다. 임금의 어명도 그를 막을 수는 없 었다. 오로지 술에 취해야 흥이 나고 그 흥에 취해서야 신명나게 붓을 놀리는 신기. 술병 을 들고 세상을 조롱하는 듯한 표정의 원숭이를 그리고 자신의 필력을 확인하지만... 화명 이 높아갈수록 변환점을 찾아야한다는 강박관념에 괴로워하고 한계를 넘으려는 노력이 계 속되는 날, 온몸의 기가 붓을 타고 흐르는 경험을 한다. 외부의 소음에도 불구하고 또렷하 게 자신의 붓소리를 듣게 되고... 매향과의 마지막 재회, 세상과의 마지막 재회. 매향이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찌그덩한 그 릇을 보고 승업은 그 안에서 자신이 그토록 도달하고자 하는 경지를 보게 되고 조선의 운 명인 듯, 또한 스러져가는 자신의 운명인 듯 그는 홀연히 세상을 등지고 사라져간다... |
선암사 전남 순천시에 있는 선암사는 장승업의 20대 후반 가을 유랑길에서의 단풍이 산세와 어울어진 경치가 영화 속에 담겨있다. 조계산 기슭 동쪽에 자리잡은 선암사는 반대편 서쪽 산 중턱에는 유명한 승보사찰 송광사가 자리하고 있다. 선암사 주위로는 수령 수백년 되는 상수리, 동백, 단풍, 밤나무등이 울창하고 특히 가을단풍이 유명하다. 또한 절 앞에 아취형의 승선교가 있는데(보물 제400호), 받침대가 자연 암반으로 되어있어 견고하며, 중앙부의 용머리가 매우 신비롭다. 문 의 : 선암사 061-754-5247 동 강 장승업의 30대 유랑길에서 자연의 경치를 화폭에 담아 예술로 승화시키는 모습을 담은 장소이다. 제천 갈대밭 : 장승업과 매향이 사랑과 인생을 공유하는 장소이다. 석모도 민머루해수욕장 장승업이 은신 중인 김병문 선생을 찾아다니는 와중에 추운 뻘밭에서 우연히 김병문과 만나게 되는 장 면이 촬영된 곳이며, 넓은 뻘밭을 배경으로 진한 감동을 느끼게 한다. 민머루 해수욕장은 인천시 강화군에 자리잡고 있다. 백사장의 길이가 약 1KM정도 펼쳐진 곳으로 해수욕과 서해 바다의 아름다운 석양을 조망할 수 있으며, 어패류를 직접 채취할수 있는 자연학습장과 인근의 어류정항, 장곳항이 있어 배를 타고 바다낚시를 즐 길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인근에 신라 선덕여왕때 창건하였다는 보문사와 마애석불이 있어 연중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
양동마을 장승업이 30대 초반에 새로운 변화를 갖기 위해 유랑길을 떠나는 과정에서 개똥이와 비를 피하기 위해 잠시 머물렀던 장소이다. 양동마을은 도시전체가 박물관인 경북 경주에 있다. 양동 민속마을은 조선시대 전통 문화와 자연을 고 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한국최대규모의 양반 마을로,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에 의해 형성되었다. 국보, 보물, 민속자료 등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어 마을 전체가 문화재(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 었는데, 마을의 규모 및 보존상태, 문화재의 수와 전통성,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때묻지않은 향 토성 등 볼거리가 많아 1993년 영국의 찰스황태자도 이곳을 방문한 바 있다. 양동 민속마을 관리사무실 : 054-762-4541 |
영종도 장승업의 20대 여름과 30대 봄 유랑길이 되었던 붉은 해초밭과 뻘밭의 전경이 마치 한 폭의 동양화같이 아름다운 곳이다.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모도의 영화촬영지 - 시월애(2) (0) | 2006.01.04 |
---|---|
석모도의 영화촬영지 - 시월애, 취화선 (0) | 2006.01.04 |
강화도 지도(2) (0) | 2006.01.04 |
석모도 첫배와 막배시간 (0) | 2006.01.04 |
정보공유의 방법 - CCL (0) | 2005.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