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http://blog.naver.com/ecustomer/120065573175
일본 과학의 힘, 노벨상 수상자 연쇄 인터뷰<3> 고시바 마사토시
“15조원짜리 소립자 충돌장치, 아시아에 유치하자” 과학 기술 학문
2009.03.22. 19:27
일본 과학의 힘, 노벨상 수상자 연쇄 인터뷰<3> 고시바 마사토시
“15조원짜리 소립자 충돌장치, 아시아에 유치하자”
만난 사람=김현기 도쿄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 제106호 | 20090322 입력
고시바 마사토시(小紫昌俊·83) 도쿄대 특별영예교수는 일본 물리학계에서 ‘오야붕(親分·두목)’이란 별칭으로 불린다. 200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카리스마로 많은 과학자를 키워냈기 때문이다. 노벨 물리학상을 7명이나 배출한 일본 물리학의 최고봉에 우뚝 서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가 ‘뉴트리노(Neutrino·中性微子) 천문학’이라고 하는 새로운 물리학 분야를 개척한 것은 일본에서 “메이지(明治) 이래 일본 과학의 최대 업적”으로 평가된다. 그는 연구뿐 아니라 차세대 일본 과학을 책임지고 갈 젊은이들에 대한 과학교육 보급에도 열심이다. 2년 전에는 아시아 각국의 젊은이들을 ‘과학’으로 잇는 ‘아시아 사이언스 캠프(ASC)’의 창립을 주도했다. 중앙SUNDAY 창간 2주년을 맞아 13일 오후 도쿄역 근처에 있는 그의 개인 사무실에서 기초과학의 나아갈 방향을 들어봤다. 그는 특별히 중앙SUNDAY 독자들을 위해 기초과학의 소중함을 전하는 메시지를 자필로 전달했다.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가 2002년 12월 10일 스톡홀름에서 구스타프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상을 받고 있다. 노벨 재단 제공 ◀고시바 마사토시 도쿄대 특별영예교수의 요즘 관심사는 일본을 넘어서 아시아로 뻗어 있었다. 그는 “21세기는 과학 부문에서도 아시아 시대가 될 것”이라며 아시아 국가들이 뜻을 모아 ‘리니어 콜라이더(linear collider)’의 아시아 유치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
“기초과학 수준을 높이려면 10년, 20년으로 되는 게 아니다. 수십 년 단위로 생각해야 한다. 내가 대학교 학부 시절 유카와 히데키(湯川秀樹·1907~81) 선생이 소립자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았고(49년), 좀 지나 도모나가 신이치로(朝永振一郞·1906~79) 교수도 이론으로 노벨상(65년)을 받았다. 그런데 이론은 나은 편이다. 연구를 위한 막대한 자금 없이도 소규모 인원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험을 통한 업적을 남기는 건 길게 볼 수밖에 없다. 내 경우에도 그랬다. 유카와 선생이 노벨상을 받을 때 내가 19살이었으니 그 뒤 40년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정도의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초과학 수준을 올려 노벨상을 받을 정도가 되려면 한국이 무엇을 먼저 해야 하나.
“결국 정부의 투자가 필요하다. 기초과학이란 산업에 공헌하거나 돈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그 나라의 기초과학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 하는 ‘근간 계획’은 국가가 해야 한다. 산업계에 맡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기초과학을 어떤 일정에 따라 어느 정도 규모로 어떻게 할 것인지 논의하는 위원회 같은 기구를 국가가 상설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모양만 갖출 게 아니라 실질적인 논의를 하고 권한 있는 기구가 돼야 한다. 기초과학은 국경과 인종·종교를 초월하는 분야다. 따라서 외국 학자라도 그 나라 국민이 존경한다면 (위원회 멤버로) 초청해도 전혀 부끄러운 게 아니다. 내가 살아온 경험상 돌이켜보면 과학자 개개인도 고생하긴 하지만 결국 기초과학을 뒷받침하는 것은 국가밖에 없다.”
-일본에는 국가 차원에서 그런 기관을 잘 운영하고 있나.
“솔직히 모양새는 있지만 어정쩡하다(웃음). 위원회 의장을 총리대신이 맡게 돼 있긴 하다. 하지만 기구의 명칭이 ‘종합과학기술회의’다. 이름에 ‘기술’이라는 게 들어가 있는 게 문제다. 기술이란 산업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건 굳이 국가가 장기 계획을 세워 할 필요가 없다. 기술이란 산업 분야에서 판단할 수 있는 문제다. 따라서 난 개인적으로 ‘종합과학회의’로 해야 맞다고 생각한다.”
|
“나는 모든 젊은이가 과학에 흥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고 싶은 일이 다 다른 법이다. 다만 내가 우려하는 건 원래 과학에 충분히 흥미를 가질 만한 젊은이가 선생님의 가르침이 충분치 못해 과학에서 (관심이) 멀어지는 것이다. 이것만큼은 어떻게든 피해야 한다. 인간은 뭔가를 할 때 곤란에 부딪치기 마련이다. 그때 하고 있던 일이 선생님이나 부모님 등 누군가로부터 강요받은 것이라면 그것이 싫어지고 거기서 도망치고 싶어진다. 하지만 여러 다양한 경험을 거쳐 자기가 진정 좋아서 하는 일이 됐다면 아무리 곤란에 처해도 그만두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 법이다. 즉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이과 선생님이 스스로 이과가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단지 월급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과를 가르치는 것이라면 그 선생님에게서 배운 학생이 이과를 좋아하게 될 리 만무하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이과를 가르치는 선생이 이과를 좋아하는 사람인지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그걸 풀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책이 있는가.
“내가 문부과학상에게 이렇게 이야기한 적이 있다. ‘당신은 어차피 예산 핑계를 대겠지만 큰 예산 없이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서…. 예컨대 대학원에서 물리학이나 천문학·수학 등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거기에 큰 흥미를 갖고 좋아서 하는 이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모교에 돌아가 주 1회씩 후배들에게 자신의 전공 과학 분야를 가르치게 하면 된다. 열정을 갖고 할 수 있다. 배우는 학생들도 달라진다. 그 대신 대학원생들에게는 제도적으로 장학금 혜택을 주면 된다. 그렇게 하면 큰 예산을 새로 안 쓰고도 좋은 선생을 얻게 돼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젊은이들에게 과학의 즐거움을 알리기 위해 ‘과학교실’도 운영한다고 들었다.
“나이 든 사람으로서 젊은이들에게 ‘기초과학이란 돈은 안 되지만 보람 있는 일’이란 걸 어떻게든 깨닫게 해 주고 싶어서다. 그래서 노벨상 상금으로 받은 돈으로 재단을 하나 만들어 2003년부터 한 달에 한 번 ‘즐기는 과학교실’이란 걸 개최하고 있다. 학교에서 보내는 학생들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찾아오는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만 받는다. 해당 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자라고 불리는 대(大)학자를 초청해 ‘학회에서 1시간 강연하는 내용을 가르치되 수준을 낮추지 말고 시간은 2.5배 더 들여 최대한 쉽고 자세히 설명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이를 NHK-TV가 전국에 연 4회 특집으로 방영한다. 그리고 그걸 녹화한 DVD를 전국의 고교와 대학 중 희망하는 곳에 무료 배포하고 있다.”
-아시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노벨상 수상자들이 대거 강사로 참가해 과학에 대해 토론하는 ‘아시아 사이언스 캠프(ASC)’가 올해 3회째 열린다. 이를 창립한 동기는.
“20세기의 기초과학은 미국과 유럽이 독점했다. ‘중국계 미국인’으로 노벨상 수상자가 3명 있지만 이들은 모두 미국 대학·대학원을 나오고 미국에서 연구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따라서 그들의 국적이 중국이란 사실은 그다지 큰 울림이 없다. 내 경우에는 미국에서 공부하고 일본으로 돌아와 일본의 젊은 과학도들과 함께 연구해 노벨상을 받았기 때문에 그 업적이 아직도 일본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생생하게 이어지고 있다고 확신한다. 나는 21세기의 주역이 아시아라고 믿는다. 아시아 젊은이들이 인류 기초과학의 선두주자, 개척자가 됐으면 하는 게 내 꿈이다. 이를 향한 첫걸음으로 ASC를 창립하게 된 것이다. 제1회는 대만, 제2회는 인도네시아에서 열렸고 제3회 행사가 도쿄 인근 쓰쿠바시에서 8월 2일부터 1주일간 열린다. 아시아 15개국 이상에서 온 200명의 학생(고교 3학년부터 대학생이 대상)이 합숙하면서 노벨상 수상자들과 격의 없는 토론을 벌일 것이다. 개최지가 일본이지만 일본 학생은 30명뿐이고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젊은이들이 모인다. 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같은 입장에서 협력해 나아가자는 의지의 표현이다. 서로가 통할 수 있다는 경험이 중요하다. 그러면 사고방식이 달라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인류평화로 이어진다.”
-한국 과학자들은 ASC에 참가할 수 없나.
“솔직히 이번 캠프를 준비하면서 한국 학자분을 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위원으로 모시려고 했다. 그런데 왜 그런지 한국 학자분들과 접촉하면 다른 사람의 험담을 한다. 그래서 그런 분들을 한국을 대표하는 멤버로 과연 초빙해도 될지, 다른 (국가) 자문위원회 위원들이 고개를 돌려 버리지 않을지 우려하게 된다.”
-한국 과학자들끼리 험담한다는 말인가.
“그렇다. 다른 나라 학자의 험담을 하는 게 아니라 같은 한국 학자들, 동료들끼리험담을 한다. ‘난 훌륭하지만 저 사람은 안 된다’는 식이다.”
-21세기 기초과학은 아시아가 이끌어야 한다고 했는데 미국·유럽과 아시아의 과학 수준 격차는 얼마나 되나.
“아직 존재한다. 20세기에 미국과 유럽이 기초과학을 리드한 원인 중 하나는 소립자 실험 가속기가 미·유럽에서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미·유럽의 젊은이들은 어려서부터 이를 견학하면서 흥미를 갖고 공부할 수 있었다, 아시아에는 그런 게 없었다. 하지만 문제는 지금부터다. 21세기 유일의 장래 계획이라 불리는 ‘리니어 콜라이더(linear collider·선형 충돌장치)가 미래를 좌우할 것이다. 이것에는 무려 1조 엔(약 15조원)가량의 자금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 세계에서 하나밖에 만들 수 없다. 이걸 어디에 만들 것인지를 놓고 현재 유네스코에서 과학자들이 모여 논의하는 중이다. 나는 이 최첨단 소립자 실험장치를 어떻게든 아시아에 유치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렇게 되면 과학의 판이 달라진다. 아시아 국가끼리 연대조직을 만들어 유네스코를 설득해야 한다. 조만간 한국 교육과학기술부나 관련 기관에도 이런 제안이 갈 것으로 안다. 나는 일본 정치인들에게도 결코 ‘일본 유치’를 입에 담아선 안 된다고 못을 박았다. 1차적으로 아시아 공동조직을 만들어 아시아 유치를 이끈 다음 나중에 어느 나라에 유치할 것인지 결정하면 된다.”
-과학, 특히 물리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내가 물리학을 하기로 결심한 것은 꽤 늦은 시기였다. 대학원 2학년이 돼서야 ‘라이프 워크(life work)’로 삼기로 결심했다. 솔직히 그때까지는 물리학을 하긴 했지만 평생 할 일이라곤 생각하지 않았다. 대학년 2학년 때 선배의 권유로 후지산에서 소립자 실험을 하면서 ‘아, 이게 내가 할 일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체험이 중요하다.”
-나이 들어서도 연구를 계속하는 원동력은.
“뉴트리노 발견을 위해 지하 1000m에 물 3000t을 담고 이 물 안의 수소 원자가 깨지는 것을 찾는 실험을 시작했다. 그랬더니 미국 연구팀이 그와 똑같은 방법으로, 하지만 물의 양을 몇 배나 더 늘려 실험하려 한다는 얘기가 들려왔다. 미국팀에 질 것이 분명했다. 질 게 뻔한 데 국민의 세금을 써도 괜찮은 것인지 많이 고민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미국 연구팀의 방대한 실험에 맞서 이길 수 있을지를 끊임없이 탐구했다. 궁리 끝에 한정된 예산 속에서 ‘감도’를 몇 배로 높여 승부하면 된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누차 강조하지만 자신이 진정 하고 싶고, 스스로 선택해 하는 일이라면 어떤 곤란에 부딪쳐도 그만두려 하지 않고 어떻게든 극복해 나가는 법이다.”
물리학과 꼴찌 졸업 51년 뒤 최고봉 오른 日 과학계의 ‘오야붕’
도쿄=김현기 특파원 | 제106호 | 20090322 입력
2002년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가 도쿄대 졸업식에서 한 축사는 두고두고 회자된다. 그는 축사가 시작되자마자 “난 물리학과를 꼴찌로 졸업했다”며 대형 스크린에 자신의 ‘형편없던’ 성적이 담긴 성적증명서를 비추었다. 그러고는 “인생은 졸업 후에 자신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역설했다. “수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자신이 배운 건 모두 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교과서를 의심하고 ‘규명의 달걀’을 언제나 두세 개 정도 품고 있어야 한다.”
어렸을 적 그의 꿈은 군인이나 음악가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중학 시절 소아마비의 후유증으로 오른팔이 불편해져 꿈을 접어야 했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담임 선생님이 읽어 보라고 건네준 아인슈타인의 저서가 물리학과의 첫 만남이었다. 하지만 물리학과에 진학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고교 3학년 겨울 기숙사 목욕탕에서 들은 한마디였다. “고시바는 물리를 잘 못하니 물리학과에 진학시키는 건 힘들겠어.” 목욕탕 창 너머로 들려온 선생님의 말에 그는 승부욕이 발동해 시험까지 남은 한 달 동안 맹렬히 공부해 결국 도쿄대 물리학과에 합격했다.
그는 자칭 ‘10년 후에 가격이 오를 주식을 찾아내는 것과 같은 눈’을 갖고 있다. 뛰어난 감(感)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속속 내놓는 데는 후진들도 혀를 내두른다. 뉴트리노를 포착하기 위한 거대한 장치를 만들 때도 3000t의 물을 담은 탱크 속의 광(光)센서 직경을 50㎝로 늘리는 방법으로 감도를 향상시켰다. 당시만 해도 아무리 광센서를 크게 해 봐야 물탱크에서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고 기껏해야 직경 5㎝를 사용하는 게 상식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83년 관측을 개시해 4년 후인 87년 2월 초신성 폭발에 의해 생긴 뉴트리노 12개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고시바 교수는 연구의 큰 흐름을 만들어 놓은 다음 제자들에게 자유롭게 맡기는 스타일이다. 그래서 그런지 도쿄대 물리학과 출신 중에서도 그의 연구팀은 유난히 결속력이 강해 ‘고시바 마피아’로 불린다.
그는 여생의 두 가지 키워드를 ‘아시아’와 ‘과학교육 보급’으로 잡고 있다.
‘아시아’. 그는 전 세계 노벨상 수상자를 초청해 매년 독일에서 개최하는 캠프에 2006년 강사로 참석했다가 같은 행사장에서 만난 대만의 리위안저(李遠哲) 박사와 “이런 걸 아시아에도 만들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2007년 대만에서 ‘아시아 사이언스 캠프(ASC)’가 창립됐고, 지난해 인도네시아 캠프를 거쳐 올해 8월 일본 쓰쿠바에서 세 번째 행사가 열린다. 에사키 레오나(江崎玲於奈·73년 물리학상), 노요리 료지(野依良治·2001년 화학상), 다나카 고이치(田中耕一·2002년 화학상), 고시바 교수, 고바야시 마코토(小林誠·2008년 물리학상) 등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 5명 외에도 대만의 리위안저 박사, 중국의 양전닝(楊振寧·57년 물리학상), 중국계 미국인 새무얼 팅(76년 물리학상) 등 총 8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참여한다. 아시아 각국에서 참가를 희망하는 200명의 학생(고교 3년~대학원생)과 노벨상 수상자들이 일주일간 합숙하면서 영어로 심도 있는 대화와 토론을 한다. 아시아 전체 과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자는 취지다.
ASC 자문위원회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고시바 교수는 “아시아의 젊은이들에게 ‘기초과학이란 보람찬 일’이라는 것을 실감시키고, 아시아가 중심이 돼 21세기 기초과학을 발전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의욕을 보인다. 8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인도 정부의 수석 과학고문인 알 치담바람까지 합한 9명이 ASC의 자문위원이다. 아시아 공동체의 기반을 다지는 것인 만큼 한국의 참여도 바람직하다는 게 그의 신념이다.
그는 젊은이들이 과학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벨상 수상 상금을 털어 ‘헤이세이(平成)기초과학재단’을 만들어 전국에서 ‘즐기는 과학교실’을 열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목욕하고 오후 8시면 잠자리에 드는 게 40년 이상 계속된 그의 독특한 습관이다.
어렸을 적 그의 꿈은 군인이나 음악가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중학 시절 소아마비의 후유증으로 오른팔이 불편해져 꿈을 접어야 했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담임 선생님이 읽어 보라고 건네준 아인슈타인의 저서가 물리학과의 첫 만남이었다. 하지만 물리학과에 진학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고교 3학년 겨울 기숙사 목욕탕에서 들은 한마디였다. “고시바는 물리를 잘 못하니 물리학과에 진학시키는 건 힘들겠어.” 목욕탕 창 너머로 들려온 선생님의 말에 그는 승부욕이 발동해 시험까지 남은 한 달 동안 맹렬히 공부해 결국 도쿄대 물리학과에 합격했다.
그는 자칭 ‘10년 후에 가격이 오를 주식을 찾아내는 것과 같은 눈’을 갖고 있다. 뛰어난 감(感)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속속 내놓는 데는 후진들도 혀를 내두른다. 뉴트리노를 포착하기 위한 거대한 장치를 만들 때도 3000t의 물을 담은 탱크 속의 광(光)센서 직경을 50㎝로 늘리는 방법으로 감도를 향상시켰다. 당시만 해도 아무리 광센서를 크게 해 봐야 물탱크에서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고 기껏해야 직경 5㎝를 사용하는 게 상식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83년 관측을 개시해 4년 후인 87년 2월 초신성 폭발에 의해 생긴 뉴트리노 12개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고시바 교수는 연구의 큰 흐름을 만들어 놓은 다음 제자들에게 자유롭게 맡기는 스타일이다. 그래서 그런지 도쿄대 물리학과 출신 중에서도 그의 연구팀은 유난히 결속력이 강해 ‘고시바 마피아’로 불린다.
그는 여생의 두 가지 키워드를 ‘아시아’와 ‘과학교육 보급’으로 잡고 있다.
‘아시아’. 그는 전 세계 노벨상 수상자를 초청해 매년 독일에서 개최하는 캠프에 2006년 강사로 참석했다가 같은 행사장에서 만난 대만의 리위안저(李遠哲) 박사와 “이런 걸 아시아에도 만들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2007년 대만에서 ‘아시아 사이언스 캠프(ASC)’가 창립됐고, 지난해 인도네시아 캠프를 거쳐 올해 8월 일본 쓰쿠바에서 세 번째 행사가 열린다. 에사키 레오나(江崎玲於奈·73년 물리학상), 노요리 료지(野依良治·2001년 화학상), 다나카 고이치(田中耕一·2002년 화학상), 고시바 교수, 고바야시 마코토(小林誠·2008년 물리학상) 등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 5명 외에도 대만의 리위안저 박사, 중국의 양전닝(楊振寧·57년 물리학상), 중국계 미국인 새무얼 팅(76년 물리학상) 등 총 8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참여한다. 아시아 각국에서 참가를 희망하는 200명의 학생(고교 3년~대학원생)과 노벨상 수상자들이 일주일간 합숙하면서 영어로 심도 있는 대화와 토론을 한다. 아시아 전체 과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자는 취지다.
ASC 자문위원회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고시바 교수는 “아시아의 젊은이들에게 ‘기초과학이란 보람찬 일’이라는 것을 실감시키고, 아시아가 중심이 돼 21세기 기초과학을 발전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의욕을 보인다. 8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인도 정부의 수석 과학고문인 알 치담바람까지 합한 9명이 ASC의 자문위원이다. 아시아 공동체의 기반을 다지는 것인 만큼 한국의 참여도 바람직하다는 게 그의 신념이다.
그는 젊은이들이 과학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벨상 수상 상금을 털어 ‘헤이세이(平成)기초과학재단’을 만들어 전국에서 ‘즐기는 과학교실’을 열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목욕하고 오후 8시면 잠자리에 드는 게 40년 이상 계속된 그의 독특한 습관이다.
'사람 사는 모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배우 오현경, 80세의 정열 (0) | 2016.11.09 |
---|---|
단 1명의 여고생을 위해 운영되던 역 - 우리는 이런 일이 가능할까? (0) | 2016.03.26 |
“신의 직장 떠나 요리하겠다는데 다들 축하해 얼떨떨” (0) | 2015.05.06 |
깨알 같은 질문, 깨알 같은 답변 - 장하준교수의 독자와의 만남 특강 후기 (0) | 2014.12.05 |
무위당 장일순 (0) | 201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