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터키(돌궐)와 한국

by 아름다운비행 2006. 6. 23.

* 출처 : 월간조선 기자게시판(월간조선 기자들의 블로그형 홈페이지)/

              조남준의 사람이야기 중에서 옮김

            http://monthly.chosun.com/reporter/writerboardread.asp?idx=800&cPage=1&wid=njcho

 

** 조남준 기자는 현재 월간조선 이사로서, 사람들이 사는 모습에 춧점을 맞춘 이야기를 수록하겠노라고 홈페이지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역시 인생과 사물을 깊이 관조하는 사람들은 시각은 "사람"에게 맞춰져 있음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는 말이다.

---------------------------------------------------------------------------------------

제 홈페이지에는 주로 사람 이야기를 쓸 생각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스포츠 등 어떤 분야도 가리지 않고 사람냄새가 나는 인물과 그 주변 이야기를 드라이하게 전달하고 싶습니다.
생존해 계신 분은 물론이고 돌아가신 분과 遺族도 취재 對象(대상)입니다.
주위에 꼭 여러 사람에게 알려야겠다고 생각되는 분이 계시면 제보해주시기 바랍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역할도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 조남준 기자(njcho@chosun.com)의 홈페이지 서문 -

---------------------------------------------------------------------------------------

 

아래의 글은 위 조남준 기자님의 홈페이지에 있는 글입니다.

 

 

 

터키(突厥ㆍ돌궐)와 한국


趙南俊 월간조선 이사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盧武鉉(노무현) 대통령이 현재 방문중인 터키는 우리 민족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는 우방이다.


터키는 한자로 突厥(돌궐)이라고 표기한다. 몽골과 함께 중국에서 匈奴(흉노)라 칭하던 민족의 하나로, 6세기 중엽부터 8세기 중엽까지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활약했다. 우리 한민족과 같은 우랄 알타이어족이다. 고구려 전성기엔 글안, 여진(숙신)과 마찬가지로 일부는 고구려의 基層(기층)민중에 속했다.


돌궐은 고구려가 멸망한 후(668년), 고구려의 遺民(유민)을 많이 받아들이면서 우리 민족과 특별히 긴밀해졌다. 고구려가 멸망하자, 대부분의 서민들은 초기엔 唐(당), 후엔 신라의 지배를 받으면 한반도에서 살아갔으나, 귀족계급 등 중상류층 가운데 일부는 唐에 포로로 잡혀갔으며, 일부는 몽골, 글안, 돌궐 등 타민족에 섞여 살다가 682년 동돌궐이 올란바토르(현 몽고의 수도)에 「돌궐 제2제국」을 수립할 때, 여기에 참여했다. 그 숫자는 전 인구의 절반인 20만명이 넘었다는 설도 있다.


돌궐의 왕은 「單于(선우)」 또는 「可汗(가한)」이라고 불리며 그 아래에 左賢王(좌현왕), 右賢王(우현왕)이 있었다. 돌궐 제2제국의 單于는 고구려 遺民을 우대하여, 고구려 왕족의 일원이며 遺民의 수장인 高文簡(고문간)을 高麗王(고려왕)으로 봉했다. 왕은 둘 밖에 없는 것이 돌궐의 전통이었으나, 고구려 유민의 숫자가 너무 많으니까 이들을 통치하기 쉽도록 王을 한명 더 늘려 고구려인을 앉힌 것이다.


돌궐은 특히 고구려 遺民 가운데 여성을 뽑아 종교의 首長(수장)인 제사장에 임명했다. 이를 탕구르, 또는 탱글리라고 했다고 한다. 고조선 시대 샤머니즘의 首長 호칭이 「단군」이었다는 설을 인정한다면 아마도 같은 계통의 단어가 아닐까 싶다.


돌궐은 7세기에 톤유크라는 사람이 중앙아시아 소그드語 계통의 문자를 만들어 역사를 기록했다. 고대 터키어로 기록된 돌궐 碑文(비문)이 몽골 오르혼江, 남시베리아 예니세이江 상류 및 서북 몽골지방에 세워져 있다.


당나라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된 돌궐은 8세기 무렵, 사라센제국의 용병으로 南下(남하)한다. 사라센은 이슬람교 창시자 모하메트의 후계자가 중동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에 걸쳐 이룩한 대제국이었다. 용병에 불과했던 돌궐은 11세기 무렵, 사라센제국을 멸망시키고 셀주크투르크 제국을 건설했다. 징기스칸의 몽골에 패해 그들의 지배를 받던 투르크는 13세기 말, 다시 오스만투르크를 세워 20세기 초반까지 7세기를 이어오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국민혁명으로 멸망했다. 동서양에 걸쳐 광대한 영토를 갖고 있던 터키는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 편을 들다 독일이 패하는 바람에 많은 영토를 잃고 오늘날의 소국으로 전락했다.


터키는 과거 고구려의 기층민중이었으며, 「돌궐 제2제국」을 같이 한 우리 한민족에 대해 깊은 유대감과 함께 형제의식을 갖고 있다. 그래서 6ㆍ25때 북괴가 남침하자, 아시아에서는 가장 먼저, 미국, 영국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군대(1만4936명, 전사 721명, 부상2147명)를 파견해 우리를 도왔던 것이다. 파병이 늦어지자, 터키의 고등학생들이 『왜 형제의 나라에 군대를 파견하지 않느냐』면서 데모를 벌였다는 말이 있다. 7세기 때부터 문자를 갖고 있는 그들은 역사를 통해 터키와 한민족과의 관계를 잘 알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의 경제 및 군사협력은 물론이고, 터키에 대한 깊은 연구가 행해졌으면 하는 것이 필자의 희망이다. 옛 터키어를 연구하면 잃어버린 우리의 과거 역사도 일부 그 속에서 찾아낼 수 있으리라는 것이 필자의 견해다.


 

 

이처럼 터키가 우리나라를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는 많은 글이 있다. 이에 반하여 그런 사실에 대해 의문을 제시하는 또다른 주장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터키에서는 역사교과서에도 우리나라와의 '형제관계'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으며 커키국민들은 우리나라를 형제지국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는 전혀 문외한이지만, 언어학적으로도 터키와 우리나라말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만큼, 이에 관한 이야기는 나중에 좀 더 다루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