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밸리이야기
이재형 :: 이재형기자가 전하는 대덕밸리소식입니다.
조선 세종 때인 1448년 개발된 세계 최초 2단형 로켓이자 세계 최대의 고체연료 추진 로켓무기인 '대신기전(大神機箭)'의 연구개발 책임자가 당시 39세의 군기감정(軍器監正) 박강(朴薑 : 1406~1460)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조선시대 군기감은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같은 곳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 박사(전 항우연 원장)가 조선왕조실록과 병기도설 등 사료 연구를 통해 밝혀낸 사실을 보면 박강이 세종 27년(1445년) 3월 39세의 나이에 군기감정을 맡아 고려 최무선 때부터 사용되던 로켓무기 주화의 성능작업을 수행했습니다.
박강은 폭약통인 소발화를 장착한 사거리 200m의 '중주화'와, 보다 대형폭탄을 장착한 사러기 500m 이상의 '대주화' 등을 개발했습니다.
박강이 개발한 주화 무기체계는 세종 29년 가을부터 여진족을 격퇴시키기 위해 평안도와 함길도의 4군 6진에 총 2만 4930발이 배치됐습니다.
이중 9000개는 박강이 평안도 현지에서 직접 제조했다고 합니다.
당시 박강이 개발한 '중주화'와 '대주화'는 세종 30년(1448년) 6월, 총통등록(銃筒謄錄)이 발간되면서 이름을 '중신기전'과 '대신기전', '산화신기전' 등으로 바뀌고, 그 규격은 1474년 편찬된 국조오례서례의 병기도설에 기록됐습니다.
채 박사는 우리의 전통 로켓인 신기전을 지난 40년간 지속적으로 연구해 원형 복원에 성공했고, 영화 '신기전'의 자문도 담당했습니다.
채 박사는 신기전 관련 설계 자료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록할 계획입니다.
<연구개요> 박강은 조선 초에 좌의정을 지낸 박은의 둘째 아들로 1406년 출생하였다.
○ 박강은 세종 29년(1447년) 12월 평안도에 파견 나가 주화 9000개를 제조하는데, 로켓화기는 구조와 제작방법이 복잡해서 로켓 전문기술자이어야 제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종 29년 12월 2일 평안도와 함길도에서 요청한 주화의 수효가 너무 많았는지, 박강을 평안도에 임시로 파견 보내 한양에서 보내온 재료를 이용하여 중주화 2000개, 소주화 7000개를 규격과 제조방식대로 제조한다.
○ 신기전의 전신인 주화가 본격적으로 사용 되는 세종 29년(1447년) 11월 직전에 대주화의 연구 개발기간으로 추정할 수 있는 2년 3개월간(세종 27년 3월부터 29년 6월까지) 세종시대의 화약무기를 연구개발 및 제작을 담당해온 군기감의 최고 책임자인 군기감정(軍器監正)이었다.
○ 재주와 능력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 박강은 군기감에 판사로 있다가 파직 당했는데도 그 이후 계속 승진하는 것은 군기감에 근무할 때 새로운 주화를 개발 한 공로 때문이다. 박강은 군기감에 책임자로 있을 때 기술자가 죄를 짓고 도망치는 사건이 발생하여 이를 판결하는 과정에서 불명예스럽게도 세종 29년 6월 2일 파직 당했다.
위와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박강을 주화를 개량하여 만든 중주화(후에 중신기전으로 이름이 바뀜) 및 대주화(후에 대신기전, 산화신기전으로 이름이 바뀜)의 개발 책임자로 볼 수 있는 것이다. |
산화신기전에서 2단 로켓격인 지화가 분리되는 순간(2009년 11월 발사시험에서)
이륙하는 대신기전의 발사모습. 길이 5.5m 무게 3kg의 초대형 로켓화기인 대신기전과 산화신기전(2010년 5월 21일 고흥 비행센터 활주로)
'정부출연연구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초 2단 로켓무기 대신기전 누가 만들었나(동영상) (0) | 21:05:54 |
---|---|
틸트로터 스마트무인기 실용화 모델 나온다 (0) | 2012/02/15 |
출연연 개편 관련 한국우주과학회 성명서 전문 (2) | 2012/02/10 |
사람의 힘만으로 500m 날기 (0) | 2012/01/12 |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신년사 전문 (0) | 2012/01/02 |
우주강국의 꿈, 3단 한국형발사체 2021년까지 개발 (0) | 201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