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IS 이야기 3 - 사전준비 : 엑셀에 지적도 이어 붙이기

by 아름다운비행 2010. 6. 10.

* 다른 까페에 올렸던 글을 복사해 옴

----------------------------------------------------------------------------------

*(2010.6.9 수정)

 

1.  인천시의 경우는 홈페이지에서 GIS영상을 직접 제공함.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지역의 위성영상 및 연속지적도 제공.

 

     - 인천시청 홈> 교통문화> 생활지리정보 

        http://gis.incheon.go.kr:8200/main/main.jsp (인천생활지리정보 메인 홈)

        http://gis.incheon.go.kr:8200/mapbrowser/mapbrowser_search.jsp?dcd=2817000000 (생활지리정보 검색화면)

 

 

2.  지적도는,  KLIS(한국토지정보시스템), LURiS(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온나라부동산정보통합포탈

     에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내가 원하는 번지 주변의 국한된 지적도가 제공 가능하다.

 

    이 중, KLIS에서 개별공시지가 화면에서 제공하는 지적도는 바탕색이 없이 제공되므로

    아래 설명에서 나오는 것처럼 엑셀에 붙여넣기하여 바탕색을 투명하게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다른 서비스들에서는 지적도에 용도지역 등 규제에 따른 바탕색이 있어,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지적도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

 

1. 토지이용 규제정보 시스템에 접속한다.

    http://luris.moct.go.kr/web/index.jsp

 

  * 지적도를 보려면,

     토지이용규제정보 시스템(LURiS) 외에도

     한국토지이용정보 시스템(KLIS)  http://klis.gg.go.kr/sis/info/landuse/landuse.do

     온나라 부동산정보 종합 포탈     http://www.onnara.go.kr/

     등이 있다.  

 

  * 특히, KLIS 의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기능은 아주 쓸만한 정보를 한꺼번에 제공해 주고 있다.

 

 

2. 찾고자 하는 토지의 소재지, 지번을 입력한 후 "열람" 단추 클릭.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그 토지의 지적도가 1/1,200 축척으로 나타난다.

 

 

 

3. "Prt Scr" (프린트 스크린) 단추를 한 번 눌러 화면을 캡쳐한 후

    그림판에 붙여넣기한다.

 

 

 

 

4. 붙여 넣은 그림중 지적도 부분만 따내기를 한다.

    그림판 좌측 상단에 점선으로 된 네모를 클릭하면 커서가 십자 형태로 바꾸는데,

    그 상태에서 마우스 좌측을 누른 후 원하는 범위를 설정해서 따내면 된다.

 

  * 아래 그림에서는 지적도의 테두리선 약간 안쪽으로 따내도록 범위를 설정했다.

    - 왜냐?

       필요할 때는 옆으로 계속 그림을 이어 붙여야 하니까

       지적도의 테두리선이 있으면 보기에 혼란이 오니까.

 

  * Tip(1) : 연속 지적도를 만드는 법

    지적도에서, 내가 찾는 필지는 지적도의 중앙에 위치한다.

    옆으로 확장하여 연속지적도를 만들고자 하면, 지적도중 테두리 쪽에 있는 지번을 다시 찾아보기를 하면 된다.

 

    혹시 지적약도 책자를 가지고 있다면

    (내지는 인터넷으로 연속지적도가 나오는 곳을 찾아냈다면

      - 전에는 인천시청에서 지적약도를 책자를 인터넷으로 제공했었다.)

    적당히 거리를 두고 지적도를 몇 번 검색해서 연속 지적도를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아래 그림은, 405-5 번지를 번저 찾은 후 테두리 쪽에 있던 405-22를 다시 찾은 사진이다.

 

  * Tip(2) : 지적도의 축척

     아래 그림중 "축척"에 내가 원하는 숫자를 넣으면, 지적도의 크기를 늘리고 줄일수 있다.

 

 

 

 

 5. 따낸 그림을 엑셀에 붙여넣기를 한다.

 

    아래 그림은, 두 개의 따낸 그림을 이어 붙인 것이다.

 

  * 여기서, 아래그림의 "투명한 색 설정" 단추를 유의하자.

     그림을 마우스 왼쪽으로 클릭한 후

     이 단추를 클릭하고

     그림(여기서는 지적도)중 원하는 색에 포인터를 옮겨 클릭해보자.

 

     - 아래 그림중 아래의 지적도는 그림판에서 따온 지적도를 그대로 이어붙이기를 한 것이고,

        위의 지적도는 지금 설명한 것 처럼 바탕색을 투명하게 한 후 이어 붙인 것이다.

 

     - 그림을 다 이어 붙인 후, 엑셀의 바탕을 '하얀색'으로 설정해 보라.

        보기 좋게, 아주 깨끗한 지적도가 나타난다.

 

     - 그림을 다 이어 붙인 후,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그림을 그룹화한다.

        (내지는 그룹화하기 전이라도, 그림을 다 선택한 후 Ctrl+C(콘트롤 키와 C를 동시에 누름)로 복사해서)

        그림판에 다시 붙여넣기를 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그림은

        연속지적도를 만들기 위해 붙여넣은 두 개의 그림을 동시에 선택한 모양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 그림판에서 새로운 그림을 붙여넣기하려면

             '파일(F)' - '새로 만들기(N)' 순으로 눌러야 하는데,

              Alt - F - N 순으로 누르면 빨리 새로운 그림을 붙여넣을 준비화면이 된다.

 

  

 

 

 

 

 

그림이 들어가다 보니 긴 글이 되었는데,

실제 해보면 아주 간단한 절차이다.

오늘은 GIS를 실생활에 이용하기 위한 절차로서

엑셀에 지적도 그림을 붙여넣고 바탕을 투명하게 만드는 법을 소개했다.

다음에는 이 지적도를 위성영상/항공사진에 얹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