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로켓 개발 연혁
by 아름다운비행
2010. 4. 14.
* 출처 : 위키백과
1377년 - 고려 우왕 3년, 최무선이 주화(走火) 제작. 한국 최초의 로켓. 이후에 신기전이라고 불림.
1451년 - 조선 문종 1년, 문종화차 제작
1958년 - 국방과학기술연구소에 로켓 연구 조직 신설
1959년 7월 - 국방과학기술연구소, 인천 고잔동(古棧洞) 해안에서 2단 로켓인 67호 로켓, 3단 로켓인 556호 로켓 시헝발사 성공
1960년 11월 15일 - 인하대학교, IITO-1A 로켓 개발
1960년 11월 19일 - 인하대학교, IITO-2A 로켓 개발
1960년 11월 19일 - 인하대학교, 오후 3시 50분 인천 송도 앞바다에서 IITO-1A IITO-2A 로켓 시험 발사
1961년 - 국방과학기술연구소 해체
1962년 4월 - 인하대학교, 인하우주과학연구회를 발족
1964년 5월- 인하우주과학연구회 IITO-1A 인천 고잔동 앞 해안에서 실험 발사
1964년 10월 - 인하대학교, IIT-3A 로켓 발사. 실패.
1964년 12월 - 인하대학교, 2단 로켓 IITA-4MR 로켓 발사
1964년 12월 - 인하우주과학연구회 최대인 3단 로켓 IITA-7CR 발사. 고체추진제는 JPN
1970년 - 공군사관학교의 박귀용, 조옥찬 교수팀, AXR-55 로켓 발사. 과학기술처 예산지원. 지름이 55 mm 라는 의미. 아스팔트 추진제
1971년 - 공군사관학교, AXR-73 로켓 발사. 아스팔트 추진제
1972년 - 국방과학연구소(ADD) 로켓 연구 시작
1972년 12월 - 공군사관학교, AXR-300 로켓 발사. 총 3호기까지 발사함
1978년 - 국방과학연구소(ADD), 미국의 나이키 허큘리스와 비슷한 국산 중형 로켓 개발
1987년 -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 우주공학실 신설. 과학로켓 1호 개발 시작.
1988년 - 과학로켓 1호 개발 사업이 과학기술처의 특정 연구과제 선정됨.
1989년 10월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창설. KARI의 전신.
1993년 6월 - 항공우주연구소, 서해안 안흥시험장에서 1단 고체로켓인 과학로켓 1호(KSR-420) 발사
1993년 9월 - 항공우주연구소, 서해안 안흥시험장에서 과학로켓 1호(KSR-420) 재발사
1993년 9월 1일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오전 10시 32분에 과학로켓 2호 발사
1995년 - 한국 최초의 액체추진제 로켓엔진 개발. 13톤 추력
2002년- KARI, 한국 최초의 액체로켓인 과학로켓 3호 발사.
2007년 - KARI, 30톤 추력의 액체추진 로켓엔진 개발. 러시아에서 시험중.
2008년 - 나로 우주 센터 완공.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의 발사대 시설.
2008년 - KARI, 75톤 추력의 액체추진 로켓엔진 개발 착수 예정
2008년 - KARI, 러시아로 부터 KSLV-I 1단에 사용될 170톤 추력의 액체로켓 수령
2009년 8월 25일 - KARI,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로켓 나로호(KSLV-I) 발사
2015년 - 나로 우주 센터 실용인공위성 로켓 발사대 증설
2015년 - KARI, 한국 최초의 실용인공위성 발사 로켓 KSLV-II 발사 예정
* Encyber 두산백과사전에 좀 더 자세한 서술형의 설명이 있음.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q=&p=&masterno=55903&contentno=7254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