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GPL 라이센스

by 아름다운비행 2008. 7. 8.

Winmerge 는 GPL 라이센스에 따른 프리웨어라고하는데,

GPL 라이센스가 뭐지??

 

 

제목 : GPL 라이센스에 대해서
글쓴이: 손님(guest) 2004/12/16 13:50:18 조회수:398 줄수:21
자유 소프트웨어니 오픈 소스니 하는 말들이 요즘 너무 많이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웹서핑을 하던중 이런 저런 글들을 읽어보다가 글을 남깁니다. 
GPL 라이센스에 있는 소스를 이용해 내가 제품을 하나 만들었다면 
그래서 그 제품을 상용으로 팔았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거 맞죠.? 
다만 그 제품을 산 사람에게 소스만 공개 하면 되는거죠.? 
다른 어느곳에도 소스 공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거죠.? 
근데 그 제품을 산 사람도 결국 소스를 얻은 사람도 소스 재배포가 가능 하지 않나요.? 
비록 돈주고 샀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이 세상 만 천하에 공개를 하면 어떻게 되는거죠.? 
여기서 궁금증이 생기더라구요. 
그렇다면 그 제품을 산 사람은 GPL 라이센스의 제품을 샀고 소스도 제공 받았는데 
재 배포는 못하는 건가요.? 
GPL 라이센스 헤깔려요.
제목 : Re: GPL 라이선스에 대해
글쓴이: 서민구(guest) 2004/12/16 22:18:37 조회수:253 줄수:44
일단은 http://www.gnu.org/licenses/gpl-faq.html 를 참고하시기를
적극 권합니다. 거기에 잘 나와있어요..
* 옮긴이 註 : 링크내용중 일부를 옮겨왔습니다.

What does "GPL" stands for?

"GPL" stands for "General Public License". The most widespread such lince is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or GNU GPL for short. This can be further shortened to "GLP",

when it is understood that the GNU GPL is the one intended.

Does free software mean using the GPL?

Not at all?there are many other free software licenses. We have an  incomplete list.

Any license that provides the user certain specific freedoms is a free software license.

 

Why should I use the GNU GPL rather than other free software licenses?

Using the GNU GPL will require that all the released improved versions be free software.

This means you can avoid the risk of having to compete with a proprietary  modified

version of your own work. However, in some special situations it can be better to use

a more permissive license.

 

자유 소프트웨어니 오픈 소스니 하는 말들이 요즘 너무 많이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웹서핑을 하던중 이런 저런 글들을 읽어보다가 글을 남깁니다. GPL 라이센스에 있는 소스를 이용해 내가 제품을 하나 만들었다면 그래서 그 제품을 상용으로 팔았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거 맞죠.? -> 네 그러나 소스코드를 제공해야합니다. 다만 그 제품을 산 사람에게 소스만 공개 하면 되는거죠.? -> 네. 다른 어느곳에도 소스 공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거죠.? -> 물론 GPL 프로그램 B와 링크하여 상용프로그램을 A를 만들면 A는 GPL입니다. 하지만 GPL 을 만들었다고 해서 다른 누군가가 제작자에게 A를 내놓으라고 요구할 수는 없습니다. 근데 그 제품을 산 사람도 결국 소스를 얻은 사람도 소스 재배포가 가능 하지 않나요.? -> 네. 맞습니다. 산 사람은 또 팔아도 되고, 마구 뿌려도 되죠. 수정해도 되죠. 비록 돈주고 샀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이 세상 만 천하에 공개를 하면 어떻게 되는거죠.? -> 그게 GPL의 핵심입니다. 수정과 배포. 그렇다면 그 제품을 산 사람은 GPL 라이센스의 제품을 샀고 소스도 제공 받았는데 재 배포는 못하는 건가요.? -> 재배포 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1) GPL에 대한 modification은 가능하고 이를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 2) 팔아도 되지만, 소스를 건네줘야한다. 그리고 이를 구입한자는 공짜로 (또는 유료로) 재배포 가능하다. 3) 내가 수정을 했을 경우, 나의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GPL이 된다. 4) 내가 링크할 경우 나의 프로그램은 GPL이 된다. 5) 내가 플러그인을 만들 경우 내 프로그램이 fork/exec를 하면 GPL이 아니다. 내가 플러그인을 만들었는데 그게 아니라 다이나믹 링킹이면 GPL이 된다. 입니다... 그래서, GPL 인 상용 소프트웨어를 돈받고 파는건 힘들죠... 어떤 종류의 유지보수라던가 하는 개념이 들어가서 거기에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한요... FAQ를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제목 : Re: GPL 라이선스에 대해
글쓴이: 손님(guest) 2004/12/17 10:31:38 조회수:198 줄수:40
네 감사여..
도움이 많이 됐어여.
내가 만약 어떤 소켓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거기에 log4j를 썼다면
물론 아파치 프로젝트는 GPL과 약간의 성격은 다르다지만
그냥 GPL 이라고 한다면 그 프로그램도 GPL이 되는거죠.?
그럼 상용으로 팔았고, 소스도 제공했는데 그럼 그걸 산 쪽에서 다른쪽에 그 소스를 공개해도 
되는 거네요.?
그리고 어차피 그 제품이 GPL 이라면 (물론 다른 각서가 없었다면) 내가 다른곳에 배포해도
되는 거구요. (그거야 어차피 각서만 없다면 내 마음 이겠지만...)
중요한건 그걸 산 쪽에서 재 배포를 해도 괜챤다는 거쟌아요.
log4j 라는 GPL을 링킹 했으니깐요.
맞죠.?
그렇다면 어디가서 SI 할때 아파치 프로젝트 라이브러리는 거의 쓰지 말아야 한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아니 SI야 어차피 그쪽 성격에 맞게 만들어 주는 거니깐 괜챤다고 해도
자체 솔루션을 만들땐 외부 GPL 라이브러를 쓰면 그래서 그 제품을 다른 곳에 팔면
그 제품을 산 곳에서 맘대루 아무에게나 줄 수 있다는게 되쟌아요.
그러니깐 자체 솔루션엔 외부 GPL 라이브러를 절대 쓰면 안 되겠네요.? 맞죠.?
그리고 외부 GPL 라이브러리에 아파치 프로젝트도 포함 될꺼구요. 맞나요.?
제목 : Re: GPL 과 아파치 라이선스는 다른데요..
글쓴이: 이희승(anoripi) 2004/12/17 18:36:00 조회수:245 줄수:19
글의 내용이 조금 모호해서.. 앞에서는 Log4J 가 GPL 이라고 가정하셨다가 뒤에서는
좀 분위기가 다른 것 같아서요.
Apache Software License (ASL) 은 BSD-like license 로
사용했을 경우 라이선스 문장이 제품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클립스를 예로 들면, about 다이얼로그를 보면 해당 제품에 대한 라이선스 구문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소스를 공개하거나 할 필요는 그러므로 없지요.
--
what we call human nature is actually human habit.
--
http://gleamynod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