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회사 연구원에 있는 견본주택 전시장에 가보니
20평대 같으면 3천만원이면 짓기는 하겠드만..
농어촌 종합정보 포탈에서
30평 목조주택 견적을 뽑아봤어요.
시골에 전원주택을 짓고 싶은데...
땅값도 그렇지만
집짓는데 얼마나 들까?
농촌에도 관리지역은 비싸니까
일단 농업지역에 있는 농지를 사서 짓는 걸로 가정하고,
땅도 공시가가 66,000원 정도...(그러면 시가는 20만원 미만일테니까)로 하고
땅 사는 것은 별도로 하고
그 땅에다가 전원주택을 짓는 것은 얼마나 들어야 할까?
일단 집은 30평짜리를 짓는 것으로 했다.
전용면적 30평이니까
그 정도면 충분한 생활공간이 될 것으로 봤다.
우선 "농어촌 종합정보 포탈"에 회원가입을 해야 가상견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니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 한 후
가상견적 서비스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뜬다.
![]() |
![]() |
![]() |
![]() |
============================================
토지는 구입을 한 것으로 가정했으니까...
30평 집을 지으려면 농림지역의 건폐율이 20%니까
대지는 150평을 구입했어야 하는 것이고..
* 건폐율 : 대지면적중 집이 앉을 수 있는 면적의 비율
- 150평의 20%가 30평이 되지요.
![]() |
농가주택에 맞게 튼튼한 집을 짓기 위한 공정을 단계별로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용자가 용도에 맞게 건축면적을 30평, 33평, 38평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각 용도지역별로 대지나 농지의 필요 구입면적을 자동산출 할 수 있습니다. 산출된 면적을 조회한 후 농지와 대지 중 어떤 토지를 구매할 것인 지 선택해 주세요 |
![]() |
![]() |
용도지역 | 토지구입면적 산정 | |||
건폐율(%) | 토지구입(평) | 토지구입(㎡) | ||
주거지역 | 제1종전용 | 50 | 60.00 | 198.35 |
제2종전용 | 50 | 60.00 | 198.35 | |
제1종일반 | 60 | 50.00 | 165.29 | |
제2종일반 | 60 | 50.00 | 165.29 | |
제3종일반 | 50 | 60.00 | 198.35 | |
준주거지역 | 70 | 42.86 | 141.68 | |
상업지역 | 중심상업지역 | 90 | 33.33 | 110.19 |
일반상업지역 | 80 | 37.50 | 123.97 | |
근린상업지역 | 70 | 42.86 | 141.68 | |
유통상업지역 | 80 | 37.50 | 123.97 | |
공업지역 | 전용공업지역 | 70 | 42.86 | 141.68 |
일반공업지역 | 70 | 42.86 | 141.68 | |
준공업지역 | 70 | 42.86 | 141.68 | |
녹지지역 | 보전녹지지역 | 20 | 150.00 | 495.87 |
생산녹지지역 | 20 | 150.00 | 495.87 | |
자연녹지지역 | 20 | 150.00 | 495.87 | |
관리지역 | 보전관리지역 | 20 | 150.00 | 495.87 |
생산관리지역 | 20 | 150.00 | 495.87 | |
계획관리지역 | 40 | 75.00 | 247.94 | |
농림지역 | 농림지역 | 20 | 150.00 | 495.87 |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 20 | 150.00 | 495.87 |
![]() |
|
![]() |
============================================
농지를 구입해 대지로 바꾸려면...
농지보전분담금을 내야만 전용이 되지요.
그 비용은 또 얼마나 드나?
* 농지보전 분담금 : 전용하는 면적만큼의 농지를 새로 조성하는 데 드는 비용.
- 농림부 지침에 따라 우리 평당 단가가 나오고,
농지보전 분담금이 정해집니다.
새만금, 대불(목포 옆에 있지요), 화옹(화성시 구역에 있고),
홍보(홍성보령 구역에 걸쳐 있고)...
이런 간척지는 이 분담금으로 시행되는 공사입니다.
전에는 농지전용부담금이라고 했지요.
* 농지전용은 농지중 얼마를 대지로 할 것인지 분할측량을 하고,
건물은 어떻게 지을 것인지..(동서로 앉힐 것인지, 남북으로 앉힐 것인지 등등)
머 이런 것을 건축사 사무실에 의뢰를 하면 되고요,
건축사사무실에서는 설계, 측량, 토지분할 이 모든 것을 다 대행해 주지요.
시·군청에 가면 민원실에서 농지전용신청서류를 접수합니다.
* 우리 공사에서 제공하는 표준설계도를 쓰면
나중에 건축허가 낼 때 도면 첨부를 안해도 됩니다.
설계비가 필요 없고,
표준설계도중 어떤 형을 택했는지만 기록하면 됩니다.
설계비가 빠지는 것만 해도 몇 백만원 절감되지요.
그런데 설계 사무실에서들은 이런저런 이유를 대면서 표준설계도를 쓰지말라고 합니다.
자기네들의 주업무이자 거의 유일한 수입원인 설계용역비가 없어지니까요.
표준설계도는 표준자재를 써야하니까
자재에서 빼먹는다든가 이런 게 어렵거든요.
(설계사무실을 폄하하고자 하는 얘기는 아닙니다. 일부가 그런다는 얘기지요)
![]() |
농지에 주택을 신축하기위해서는 농지를 대지로 전용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농지를 대지로 전용 하는 데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여야 하고, 농지전용에 대한 농지보전분담금은 농지 공시지가의 30%를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
면적 | 495.87 ㎡ | -토지대장’에서 확인 |
공시지가 | 원/㎡ ![]() |
-토지대장’에서 확인 ![]() |
농지보전부담금 요율 |
공시지가의 30% | -’06년 1월 22일’ 개정 적용 |
농지보전 부담금 산출 | 2,975,220 원 (공지시가가 입력이 되지 않으면 산출되지 않습니다.) | |
![]() |
![]() |
![]() ![]() |
============================================
저는 30평짜리 목조주택을 짓고 싶습니다.
![]() |
주택을 짓기 위해서는 설계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한국농촌공사에서는 농어민들과 귀농희망자분들을 위해 2004년 표준설계도면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주택신축 시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
==================================
그 비용은 대략 얼마나 드나?
1억 천만원이 좀 더 드네요.
여기다가
집 잘지어 달라고
일하는 양반들 간식거리며.. 머 이런 것이 좀 더들겠지요? ^^
![]() |
2004년도 농촌경관주택 설계도 총 12개 설계도면에 대한 공사비내역서를 제공하여, 건축공사비 원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농촌에 집을 신축할 경우 공사비 절감 및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 |||||
|
![]() |
총공사비 | 113,298,273 원 |
![]() |
|
종 별 | 재료비 | 노 무 비 | 경비 | 합계 |
* 30평-나 | 62,774,286 | 44,259,926 | 798,137 | 107,832,349 |
건축공사 | 56,974,286 | 38,359,926 | 798,137 | 96,132,349 |
- 가설공사 | 317,559 | 1,909,550 | 633,676 | 2,860,785 |
- 지정공사 | 891 | 4,971 | 747 | 6,609 |
- 철근콘크리트공사 | 2,860,211 | 4,817,083 | 159,163 | 7,836,457 |
- 방수공사 | 187,070 | 434,572 | 0 | 621,642 |
- 타일공사 | 258,166 | 371,881 | 0 | 630,047 |
- 목공사 | 9,190,549 | 8,418,275 | 0 | 17,608,824 |
- 미장공사 | 261,964 | 843,324 | 0 | 1,105,288 |
- 창호공사 | 10,449,307 | 264,332 | 0 | 10,713,639 |
- 유리공사 | 1,098,519 | 1,455,567 | 0 | 2,554,086 |
- 도장공사 | 347,918 | 1,936,723 | 0 | 2,284,641 |
- 수장공사 | 10,462,112 | 6,724,919 | 0 | 17,187,031 |
- 골재비및운반비 | 436,065 | 5,964 | 1,842 | 443,872 |
- 지붕및홈통공사 | 21,103,955 | 11,172,765 | 2,709 | 32,279,429 |
전기공사 | 1,900,000 | 2,600,000 | 0 | 4,500,000 |
설비공사 | 3,900,000 | 3,300,000 | 0 | 7,200,000 |
합계 | 62,774,286 | 44,259,926 | 798,137 | 107,832,349 |
![]() |
위 견적서는 2005년 물가자료 및 품샘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 ![]() |
==================================
총 비용은 1억 1600만원 정도,
농지를 평당 20만원 치면 150평에 3천만원,
타 지역에 가서 사는거면 좀 더 줄 수 밖에 없는 관행을 감안해
평당 30~40만원 준다 치면 4500~6000만원.
그럼 도합 2억2천만원 정도의 돈이 필요하네요.
* 그리고, 일단 농촌에 전가족이 이사가서 빈집이나 머 그런데를 빌려서 1년 정도 살고 난 후
집을 지으면 농가주택으로 인가를 받을 수 있으니까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겠지요.
(저는 농가주택에 관해서는 잘 모르는 관계로 그것은 여기다 쓸 수 없음을 양해 바랍니다.)
![]() |
2004년도 농촌경관주택 설계도 총 12개 설계도면에 대한 공사비내역서를 제공하여, 건축공사비 원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농촌에 집을 신축할 경우 공사비 절감 및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 |
면적 | 30 평 (99.174㎡) |
농지보전부담금 | 2,975,220 원 (공지시가가 입력이 되지 않으면 산출되지 않습니다.) |
![]() |
용도지역 | 토지구입면적 산정 | |||
건폐율(%) | 토지구입(평) | 토지구입(㎡) | ||
농림지역 | 농림지역 | 20 | 150.00 | 495.87 |
![]() |
| |||||
|
![]() |
총공사비 | 113,298,273 원 |
|
종 별 | 재료비 | 노 무 비 | 경비 | 합계 |
* 30평-나 | 62,774,286 | 44,259,926 | 798,137 | 107,832,349 |
건축공사 | 56,974,286 | 38,359,926 | 798,137 | 96,132,349 |
- 가설공사 | 317,559 | 1,909,550 | 633,676 | 2,860,785 |
- 지정공사 | 891 | 4,971 | 747 | 6,609 |
- 철근콘크리트공사 | 2,860,211 | 4,817,083 | 159,163 | 7,836,457 |
- 방수공사 | 187,070 | 434,572 | 0 | 621,642 |
- 타일공사 | 258,166 | 371,881 | 0 | 630,047 |
- 목공사 | 9,190,549 | 8,418,275 | 0 | 17,608,824 |
- 미장공사 | 261,964 | 843,324 | 0 | 1,105,288 |
- 창호공사 | 10,449,307 | 264,332 | 0 | 10,713,639 |
- 유리공사 | 1,098,519 | 1,455,567 | 0 | 2,554,086 |
- 도장공사 | 347,918 | 1,936,723 | 0 | 2,284,641 |
- 수장공사 | 10,462,112 | 6,724,919 | 0 | 17,187,031 |
- 골재비및운반비 | 436,065 | 5,964 | 1,842 | 443,872 |
- 지붕및홈통공사 | 21,103,955 | 11,172,765 | 2,709 | 32,279,429 |
전기공사 | 1,900,000 | 2,600,000 | 0 | 4,500,000 |
설비공사 | 3,900,000 | 3,300,000 | 0 | 7,200,000 |
합계 | 62,774,286 | 44,259,926 | 798,137 | 107,832,349 |
![]() |
총 공사비 (A) |
113,298,273원 (제경비 포함한 공사비) |
농지보전부담금 (B) | 2,975,220원 (공지시가가 입력이 되지 않으면 산출되지 않습니다.) |
소계 (A+B)=(c) | 116,273,493 원 |
![]() ![]() |
==================================
그런 후에, 집을 신축하는 것이니까
등록세(+ 지방교육세), 취득세(+농어촌특별세)를 또 생각해야지요.
등록세는 등기할 때 내야하고
취득세는 30일 안에 내야하니까
미리 돈을 계산해 놓아야 합니다.
제 날짜에 안내면 불성실 신고 가산금 20%,
늦어진 날짜만큼 추가 가산세가 붙습니다.
* 모든 일에는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용신고엔 건축사, 등기업무엔 법무사, 세금 관계는 법무사가 다 알려주기도 하지만,
세무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겠지요.
물론, 그 용역서비스를 사는 데 필요한 추가비용은 들지만요.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실록 부동산정책 40년 ⑫] 서민 내집마련 위한 금융지원 (0) | 2007.04.24 |
---|---|
KBS 1TV 무한지대 큐! 전원마을 주택전시관 방영 (0) | 2006.11.30 |
부동산과 세금 (0) | 2006.10.27 |
농지법 해설(1) - '96년 제정당시의 농지법 (0) | 2006.03.27 |
8.31조치 - 부동산실거래가 신고, 어기면 중과세 등 불이익 (0) | 200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