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비행
2005. 7. 25. 12:15
[ 필수원소의 결핍과
과잉 | 주요작물별 생리장해와
대책 | 작물별
양분결핍증상
| 작물별 양분결핍이 일어나기 쉬운
성분
] |
 |
|
작물별 양분결핍증상
|
증상출현부위 |
증상이 나타 나는 방법 |
증상의 모양 |
증상의 판별 |
혼동하기 쉬운 다른 증상과의 구별방법 |
전체에 나타난다 |
전체적으로 생육이 나빠지나 특히 늙은잎부터
나타나기 쉽다 |
늙은잎부터 새잎으로 황화가 진행되며 초장은 신장하지 않고 전체가 소형이
된다 |
N결핍증 |
- |
잎은 소형으로서 농록이 되고 아랫잎은 자색이 되어 낙엽한다. 뿌리는 잔뿌리의 신장이
불량하다 |
P결핍증 |
- |
늙은잎부터 나타난다 |
생육초기에 나타나지 않고 과실이 비대할
무렵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
전체의 잎이 암록색으로 아랫 잎의 선단과 잎가가 황변 하거나 이 부분에 작은 황반이
생겨 차차 중록으로 퍼진다 잎몸이나 잎가의 황화는 갈색으로 변하여 괴사한다 황화부, 갈변부 잎맥에 가까운 농록부와의 구별이
분명하다 오이 등에서는 아랫잎에 작은 반점이 다수 생긴다 피망 등에서는 아랫잎에 낙엽이 심하다 |
K결핍증 |
마그네슘결핍은 잎전체가 조금 황색이 되나 칼리가 결핍일때는 잎전체가 암록색으로서 아랫잎의 잎만이 황변 혹은 갈변하고 그 부위와 엽록부 위의 대조가 명료하다 |
잎맥사이에 황반이 생기고 잎가가 안쪽으로 감아든다 초산태질소가 많은때에 나타나기
쉽다 |
Mo결핍증 |
토양이 산성일때 일어나기 쉽다. 중성 내지 알칼리성이 되면 일어나지
않는다 |
과실이 열 리고 있는 부근의 잎 에서 나타난다
|
생육초기에는 나타 나지 않고 과실이 비대할 무렵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
과실이 비대할 무렵부터 그 부근 잎의 잎맥사이가 황화되기 시작한다 잎선단부터
황화가 시작되어 잎가와 잎맥사이로 황화해 가는 일도 있다 과실이 열려 있는 곳부터 아랫잎의 잎전체가 황화하는 일도 있다 심하게 되면
황화부가 갈색으로 괴사하여 낙엽진다 |
Mg결핍증 |
o 망간결핍이나 아연결핍과 판별하기 어려운 때가 있다 o 마그네슘 결핍증은
새잎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o 토양 pH가 낮은때는 마그네슘 결핍으로 추정 가능하다 o 잎분석 |
새잎부터 나타난다 |
맨 끝에 나타난다 |
정아(頂芽)와 새잎이 황백화하고 어렴풋이 잎맥에 녹색잎이 남는다 갈색으로
괴사하는 일은 없다 석회질비료의 과용, 하우스내에서 염류의 고농도 장해를 받았을 때, 하우스내에서 아초산을 흡수했을 때 등 특수한 때에
일어난다 |
Fe결핍증 |
o 망간결핍증과의 구별이 어렵다 o 철결핍증은 정아가 거의 백색이
된다. o 황산 제 1철액을 살포하여 2∼3일 지나 녹색이 되면 철결핍으로 판정한다 o 잎분석 |
정아로부터 황화하여 위조한다 |
B결핍증 |
중성 내지 알칼리성 토양에서 나타나기 쉽다 |
새잎부터 나타난다 |
비교적 늙은 잎도 퍼진다 |
새잎의 잎맥사이가 담록색이 되고 잎맥에만 녹색이 남고 황화부는 곧
갈변한다 |
Mn결핍증 |
o 망간결핍은 새잎이 황화하나 철결핍과 같이 회계되지 않고 황색부가 분명하지
않다 o 아연결핍은 황반부와 녹색부가 명료한 대조를 나타낸다 |
줄기나
잎자루에 나타난다 |
줄기의 선단이나 잎자루가
약해지고 꺾어 보면 중심이 깊게 돼 있다 줄기가 갈라지는 일도 있다 |
B결핍증 |
중성 내지 알칼리성 토양에서 일어나기 쉽다
|
과실에 나타난다 |
토마토의 배꼽썩음병, 오이의 갈새심부병, 피망의 배꼽썩음병 등 어느 것이라도 꽃이
붙어 있던 부위부터 썩는다 |
Ca결핍증 |
산성토양에서 일어난다 |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 |
증상이 나타 나는 방법 |
증상의 모양 |
증상의 판별 |
혼동하기 쉬운 다른 증상과의 구별방법 |
전체에 나타난다 |
전체적으로 생육이 나빠지나 특히 늙은 잎부터 나타나기
쉽다 |
늙은잎부터 황색이 되고 점차 새잎도 황화한다 결구를 안할 때도 있고 결구해도 구가 작다
|
N결핍증 |
- |
잎은 농록이나 작물은 크지 않고 아랫잎이나 잎자루가 자색이 된다 |
P결핍증 |
- |
늙은잎부터 나타난다 |
생육초기에는 나타나지 않고 결구가 시작되면 증상이
나타난다 |
전체적으로 잎색이 암록색으로서 주름이 많고 뻣뻣한감이 있다 마른잎의 선단이나 잎가가 황변 또는 갈변하여
괴사한다 양배추 등에는 이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
K결핍증 |
o 황변부와 녹색부가 분명이 구분된다 o 황변부는 갈색이 되고 괴사하기 쉽다 |
늙은잎의 잎가와 잎맥사이가 황화하고 잎맥에는 녹색이 남는다 잎맥이나 잎자루가 자색이 되는 일고 있다
|
Mg결핍증 |
o 황변부와 녹색부가 분명하지 않다 o 산성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생육초기부터 나타나며 늙은 잎부터 점차 새잎에 미친다 |
잎맥사이에 황색반점이 생기고 잎이 안쪽으로 감아 컵모양이 된다 잎몸이 적고 잎중륵에 잎몸이 조금 붙어서
개꼬리와 같이 편상엽(鞭狀葉)이 된다 |
Mo결핍증 |
산성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새잎의 선단 혹은 심엽 (心葉)에 나타난다
|
새잎의 선단이나 잎가가 백색 혹은 갈색으로 고사한다 |
Ca결핍증 |
o 칼슘결핍증이 일어나는 토양은 산성이고 붕소 결핍은 pH6.5이상에서 나타나다 |
새잎의 선단이 갈색으로 고사하는 잎가 부패 또는 중심부가 위축하거나 황화하는 심부(心腐)현상이
일어난다 |
B결핍증 |
o 붕소결핍잎의 잎자루에는 갈색 혹은 흑색의 균열이나 반점이 생기지만 칼슘결핍에서는 잎루에 아무런 증상도 생기지
않는다 |
잎자루에 나타난다 |
결구한 외측의 잎을 들춰보면 잎자루의 내측이 흑색 소반점이나 갈색의 균열이 세로 또는 가로로
생긴다 |
B결핍증 |
중성 내지 알칼리성 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와 나타나는 방법 |
증상의 모양 |
증상의 판별 |
혼동하기 쉬운 다른 증상과의 구별방법 |
전반적으로 생육시기에 나타난다 |
전체가 황화하고 생육이 나쁘다 |
N결핍증 |
- |
잎맥이나 잎자루가 자색이 되거나 적갈색이 되거나 하는데 잎몸은 농록색이다 |
P결핍증 |
- |
늙은잎부터 나타나서 점차 새잎에 미친다 |
전체적으로 잎이 암록색이 되고 주름이 많고 뻣뻣한 감이 있다. 늙은잎의 선단이나 잎가는 황색이 되고 그
부분이 점차 갈변하여 괴사한다 |
K결핍증 |
o 황색부와 농록색 부분의 대조가 강하다 |
늙은잎의 잎가와 잎맥사이가 황화하고 잎맥은 녹색이 남는다 심하게 되면 황화한 부분이 백색으로
괴사한다 작물 전체가 황색이 되고 새육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일도 있다 |
Mg결핍증 |
o 황색부와 녹색부분이 분명하지 않거나 또는 전체가 황화한다 o 산성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잎이 안쪽으로 감겨 컵모양으로 된다 점차 새잎에 증상이 나타난다 |
Mo결핍증 |
o 산성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잎자루에 코르크화가 보인다 |
셀러리 등은 잎자루가 부분적으로 코르크화하고 세로 또는 가로로 균열이 생긴다 |
B결핍증 |
o 중성 내지 알칼리성 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증상이 나타나는부위 |
증상이 나타 나는 방법 |
증상의 모양 |
증상의 판별 |
혼동하기 쉬운 다른 증상과의 구별방법 |
전체에 나타난다 |
전체적으로 생육이 나바지나 특히 늙은잎부터 나타나기
쉽다 |
늙은잎부터 새잎으로 황화가 진행한다 잎도 커지지 않고 뿌리도 비대하지 않는다 |
N결핍증 |
- |
잎은 농록인데 작물은 자라지 않고 아랫잎이나 잎자루는 자색이 되고 뿌리는 비대하지 않는다 |
P결핍증 |
- |
늙은잎부터 나타난다 |
생육초기에는 나타나지 않고 뿌리가 비대할 무렵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
중심잎은 암록색이며 늙은잎의 선단과 잎가가 황변 또는 갈변하여 괴사한다 순무 등은 아랫잎에 백반이 생기고 이
부분이 연결 되어 고사한다 |
K결핍증 |
마그네슘결핍증은 잎맥 사이가 황화하고 녹색부와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으나 칼리결핍증은 황색부와 농록색부위와의 대조가
분명하다 |
늙은잎의 잎가 및 잎맥사이가 황화하고 잎맥에 녹색이 남는다 무는 위축병과 혼동하는 일도
있다 |
Mg결핍증 |
위축병의 황변은 불규칙적이나 마그네슘결핍의 황변은 잎맥사이에 전면적으로 퍼져 나간다
|
잎맥사이가 황화하고 잎이 안쪽으로 말려 컵모양으로 된다 선단이나 잎가부터 마른다 무는 중륵에 잎몸이
조금 붙어서 편상엽이 된다 |
Mo결핍증 |
산성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새잎에만 나타난다 |
새잎의 선단이나 잎가가 백색 혹은 갈색으로 마른다 |
Ca결핍증 |
- |
새잎부터나타난다 |
|
중심잎이 황화하고 신장이 멎고 위축증상을 나타낸다 당근에서는 중심잎이 황화고사하므로 근수부에서 별도로 새잎이
나와 총생상으로 된다 |
B결핍증 |
o 칼슘결핍이 일어나는 토양은 산성이다 o 붕소나 망간결핍증은 토양 pH가 6.5이상에서 나타난다
|
|
새잎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전체에 퍼진다 |
잎맥만이 녹색이고 잎맥사이는 담록에서 점차 황화하며 마침내 늙은잎에도 퍼지나 중심잎이 위축 증상을 나타내는 일은
없다 |
Mo결핍증 |
o 잎분석 |
나타나는부위 |
증상이 나타 나는 방법 |
증상의 모양 |
증상의 판 별 |
혼동하기 쉬운 다른 증상과의 구별방법 |
뿌리에 나타난다 |
비대나 색이 나빠진다 |
뿌리의 비대가 나빠진다 당근은 적색이 옅어진다 |
N,K,Mg,Ca 등의 결핍 |
- |
피부의 거칠음, 균열, 적심(赤心), 심부공동 등이 된다 |
근수부가 흑색이 되거나 코르크화하거나 균열이 생긴다 피부가 거칠어져 상어껍질모양으로 되거나 흑색의 더러운
피부가 되거나 한다 잘라 보면 도관부나 중심부가 적갈색 혹은 흑색으로 오염되고 적심이거나 속이 썩거나 공동이 생기거나
한다 |
B결핍증 |
중성 내지 알칼리성 토양에 나타나기
쉽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