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지 재배법(2)
제목: | 일년초 재배법 - 도라지 |
도라지 Platycodon
발아온도 발아일수 파 종
기 개 화
기
15℃
10∼15일 3∼4월
6∼7월
<재배포인트>
o 적지:햇볕이 잘 드는 곳의 반그늘.
o 파종
평평한 묘판에 흩어뿌리고, 파종 후 짚을 깔고 매일 물을 주면, 10∼15일 지나 싹이 튼다.
싹이 트면
짚을 걷고 모종을 화단에 옮겨 심는다.
분식하여 관상할 경우에는 온실에서 2∼3월에 파종한다.
꽃이 진
후 꼬투리가 누렇게 되면 따서 말려서 씨를 받는다.
o 정식
7월상순∼9월에 본잎이 6∼8장 나오면 10X15cm 간격으로 정식하고,
분식의 경우는 본잎이 6∼8장 될 무렵에 한번 순치기하여 15cm분에 3포기씩 정식한다.
o 포기나누기
10월중순∼하순에 포기를 캐면 덩이뿌리 위에 순이 모여 있으므로
이것을 순이 고루 붙도록 세로로 잘라서 나누고, 나뉘어진 포기를 30cm 간격으로 정식한다.
포기를 나눈 것과 실생 1년째의 포기를 정식할 때의 밑거름은 퇴비, 깻묵 등 완효성 비료를
준다. 실생 2년째 이후의 포기는 개화후에 땅에서 10cm 정도로 바짝 자르고, 추비를 주면
다시 꽃이 핀다.
=================================================================================
장백길경(도라지)
- 기관 : 영남농업시험장 / 성명 : 김현태
1. 육성내력
장백도라지는 영남농업시험장에서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전국에서 재래종 및 야생종을 수집하고 계통분리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밀양에서 수집된 계통이 수량성이 높고 균일성이 인정되어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개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밀양, 봉화, 진안, 함양 4개소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였고 농촌진흥청 우량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우수성이 인정되어 ‘장백도라지’로 명명하여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그림 1).
2. 주요특성
가. 생육특성
장백도라지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래종의 꽃이 백색과 청색이 혼합되어 있는데 반해 백색으로 균일하며 잎모양은 재래종과 비슷한 피침형이다. 개화기, 경장 및 경태는 재래종과 비슷하나 재래종보다 뿌리가 길고 굵다.
계 통 명 |
개화기 (월.일) |
화 색 |
경 장 (㎝) |
경 태 (㎜) |
근 장 (㎝) |
근 태 (㎜) |
지근수 (개/주) |
장백도라지 |
7. 21 |
백 |
81.6 |
5.6 |
21.0 |
21.0 |
3.4 |
재 래 종 |
7. 21 |
청백 혼합 |
81.1 |
5.3 |
20.4 |
19.9 |
3.4 |
그림 2. 장백도라지의 뿌리비교
나. 품질특성
장백도라지의 조사포닌과 Platycodin D의 함량은 재래종보다 적었으나 엑스함량은 재래종보다 많았다.
품종 및 계통명 |
엑스함량(%) |
조사포닌 함량(%) |
Platycodin D 함량(%) |
장백도라지 |
38.4 |
3.686 |
0.072 |
재 래 종 |
36.1 |
3.849 |
0.086 |
3. 수량성
밀양, 봉화, 진안, 함양 4개소에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개년간 3회에 걸쳐 실시한 지역적응 시험에서 2년생의 10a당 수량은 건근으로는 324㎏으로 285㎏인 재래종 대비 14% 증수하였으며 생근으로는 1,405㎏으로 1,235㎏인 재래종 대비 14% 증수하였다.
구 분 |
수량성 (㎏/10a) |
수량지수 (%) | |||||
밀양 |
봉화 |
진안 |
함양 |
평균 | |||
생근 |
장백도라지 |
1,536 |
2,044 |
1,409 |
631 |
1,405 |
114 |
재 래 종 |
1,258 |
1,933 |
1,160 |
588 |
1,235 |
100 | |
건근 |
장백도라지 |
303 |
465 |
383 |
146 |
324 |
114 |
재 래 종 |
253 |
440 |
307 |
141 |
285 |
100 |
4.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본 품종은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나 주야간 기온의 일교차가 큰 지역이 수량이 높아 유리하며 소립종자이므로 입모의 확보에 유의하고 습해에 약하므로 배수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박인현 외. 1987. 약초재배법.
정태현. 1985. 한국식물도감.
정홍도. 1990. 주요약용작물재배기술.
진존인. 1985. 한방약학대사전.
현대한방연구소. 1985. 현대의 한방.
* 출처 : http://www.nongup.gyeongbuk.kr/main02_0107_08.html